콘텐츠목차

6·8부정선거 항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075
한자 六八不正選擧 抗議
이칭/별칭 6·8부정선거 규탄시위,6·8부정선거 규탄투쟁,제7대 선거 반대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7년 6월 12일연표보기 - 신민당 경북도지부 당원 50여 명 ‘6·8총선거 무효화’ 요구 시위
성격 민주화운동

[정의]

1967년 대구에서 제7대 국회의원 선거가 부정으로 치러진 것에 대하여 항의하며 벌인 정치운동.

[개설]

1967년 6월 8일 실시한 제7대 국회의원 선거는 선거 기간 부정행위가 광범위하게 저질러져 ‘6·8부정선거’로도 불린다. 부정선거로 여당인 민주공화당이 절대다수 의석을 자치하자 야당의 선거 무효화 투쟁과 함께 대구를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시민과 학생들의 항의시위가 끊이지 않았다.

[역사적 배경]

박정희는 1967년 5월 3일에 실시한 제6대 대통령 선거에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하였지만 헌법을 고쳐야 대통령 3선뿐 아니라 장기 집권이 가능하였다. 박정희 정권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2/3 이상의 의석을 얻어야 개헌할 수 있었다. 1967년 6월 8일 실시한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총의석 175석[전국구 44석] 가운데 여당인 민주공화당 129석[전국구 27석], 야당인 신민당 45석[전국구 17석], 대중당이 1석을 차지하며 박정희 정권은 3선개헌에 필요한 2/3 의석을 차지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제7대 국회의원 선거는 공개투표, 대리투표, 빈대투표, 올빼미투표 등과 같은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불법과 부정이 광범위하게 저질러진 선거였다. 부정투표와 부정 개표 사건이 전국의 개표장에서 대규모로 발생하였다.

선거 결과가 발표되자 신민당을 비롯한 야권과 국민은 6·8선거를 부정선거로 규정하고 전면 재선거를 주장하며 규탄 투쟁에 나섰다. 전국의 학생들도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6월 15일 전국 21개 고등학교와 5개 대학교가 시위와 단식 투쟁에 들어가자 박정희 정권은 30개 대학과 148개 고등학교에 휴교령을 내리며 학생 시위를 원천 봉쇄하였다. 1967년 7월 3일 국회가 개원하였지만 신민당은 등원을 거부한 채 부정선거 전면 무효화 투쟁위원회를 구성하여 원외투쟁을 이어 갔다. 결국 여야는 회의를 개최하여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개선, 선거법·정당법 개정, 부정조사특위법 제정 등에 대해 합의하였고 신민당이 국회 개원 142일 만인 1967년 11월 29일에 등원하면서 6·8 부정선거 규탄은 막을 내렸다.

[경과]

대구 지역에서 6·8부정선거 항의시위는 신민당 경북도지부와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가 주도하였다. 1967년 6월 12일 신민당 경북도지부 당원 50여 명은 대구역 광장에서 ‘6·8총선거 무효화’를 요구하는 시위를 개최하였다. 시위대는 ‘선거의 백지화’, ‘부정선거 가담 공무원 엄단’, ‘야당의원 등록 거부’, ‘정당법과 선거법의 전면 개정’, ‘공화당의 자성과 6·8선거의 부정 자인’ 등을 요구하며 가두시위를 벌였다.

경북대학교에서는 고인순, 기우동, 문제현 등 정사회(正思會) 회원을 중심으로 규탄 대회와 가두시위를 벌였다. 1967년 7월 6일 벌인 시위에서는 ‘협잡이 민주화, 부정이 근대화냐’, ‘규탄한다. 근대화된 협잡 선거’ 등의 구호를 외치면서 학교 당국과 경찰의 저지선을 뚫고 경북대학교를 벗어나 경대교, 제일모직, 약전골목, 반월당, 남문시장 네거리까지 가두시위를 벌였다. 계명대학교에서는 학생회장 이광호와 장영길을 중심으로 1967년 6월 16일 6·8부정선거 규탄 성토대회를 열고 가두시위를 시도하였으나 학교 당국과 경찰의 제지로 저지를 당하였다.

[결과]

1967년 7월 8일 중앙정보부 부장 김형욱이 6·8 부정선거 규탄 시위를 무력화시키고자 왜곡·과장된 동백림간첩단사건을 대대적으로 발표하면서 대구를 비롯한 전국의 6·8부정선거 항의시위는 소강상태에 들어갔다.

[의의와 평가]

6·8부정선거는 결국 대통령 3선 연임을 허용하는 3선 개헌으로 이어졌다. 박정희는 1971년 4월 27일 실시된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고 6·8부정선거 항의는 6·8선거의 무효화와 재선거라는 목표를 이루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