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724
한자 鐵道
영어공식명칭 Railway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민정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데 필요한 철도시설과 차량 및 운송시스템.

[개설]

철도는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데 필요한 철도시설과 철도차량, 그리고 관련된 운영, 지원체계로 구성된 운송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황]

대구광역시 내를 통과하는 철도는 경부선대구선이 있다.

경부선은 서울~부산을 연결하며 총길이 441.7㎞이다. 경부선 KTX,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이 경부선 노선을 사용하고 있으며, 충북선, 중앙·동해남부선, 경전선, 경북선 열차도 경부선 노선의 일부 구간을 사용하고 있는 등, 우리나라 철도 교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대구광역시에서 경부선 KTX동대구역에 정차하며, 일반철도는 가천역[수성구], 동대구역[동구], 반야월역[동구], 대구역[북구]에 정차한다.

동대구역은 1969년 6월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2004년 4월 고속철도가 개통되었고, 2016년 11월 동대구 복합환승센터[터미널]와 지하철 등이 연계되어 대구 교통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2019년 현재 경부선 KTX, 경부선, 대구선 등 1일 최대 400여 편 이상의 열차, 1일 평균 약 6만 2000명의 고객이 이용하고 있다.

가천역경부선 고모역과 경산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화물역으로 이용되고 있다.

반야월역은 영천 방면 교통의 요충지이며, 주로 양회, 신문용지, 무연탄, 여객 수송 업무로 이용되고 있다.

대구역은 지천역과 동대구역 사이 경부선의 중간역이며, 도심 중심부에 위치하여 대구 상권의 중심지와 연결되어 있다. 2019년 현재 1일 새마을호 20편, 무궁화호 54편이 정차한다.

대구선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역~경상북도 영천시 영천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의 지선으로, 총길이 29㎞이다. 대구선 구간만을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없으며, 대부분 동해남부선이나 중앙선 등과 연계하여 운행한다.

[참고문헌]
  • 렛츠 코레일(http://www.letskorail.com)
  • 철도산업정보센터(http://www.kric.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