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720
한자 地下車道
영어공식명칭 Underpass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민정

[정의]

대구광역시 내 도로의 교통 체증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가 다닐 수 있도록 땅 밑으로 낸 길.

[개설]

2019년 12월 현재, 대구광역시 내의 지하차도는 총 48개소이며, 대구광역시가 관리하는 지하차도는 42개소, 구가 관리하는 지하차도는 6개소이다.

대구광역시가 관리하는 지하차도는 특별법 1종 1개소, 2종 11개소, 3종 16개소이며, 일반 지하차도 14개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시설안전관리사업소에서 관리하는 지하차도는 27개소, 대구시설공단에서 관리하는 지하차도는 15개소이다.

특별법 1종 지하차도는 북구 서변동 호국로에 위치한 서변 지하차도로 총길이 966.5m이며, 시설안전관리사업소가 관리하고 있다.

시설안전관리사업소가 관리하는 특별법 2종 지하차도는 총 6개소가 있다. 북구 태전동 칠곡로에 위치한 칠곡 지하차도는 총길이 357.5m, 수성구 대흥동 유니버시아도로에 위치한 월드컵지하차도는 총길이 1,370m, 수성구 연호동 범안로에 위치한 연호지하차도는 총길이 940m, 북구 매천동 매천로에 위치한 매천시장지하차도는 총길이 480m, 동구 봉무동 공산로에 위치한 봉무지하차도는 총길이 710m, 동구 팔공로에 위치한 불로지하차도는 총길이 540m이다.

시설안전관리사업소가 관리하는 특별법 3종 지하차도는 7개소가 있다. 서구 상리동 서신로에 위치한 새방지하차도는 총길이 71.5m, 서구 상리동 가르뱅이2길에 위치한 상리지하차도는 총길이 164m, 북구 칠성동 통일로에 위치한 대구역지하차도는 총길이 235m, 북구 서변동 서변로에 위치한 고촌지하차도는 총길이 250m, 수성구 만촌동 무열로에 위치한 효목네거리지하차도는 총길이 300m, 동구 범안로에 위치한 율하지하차도는 총길이 125.5m, 달서구 용산동에 위치한 용산지하차도는 총길이 259.2m이다.

대구시설공단에서 관리하는 특별법 2종 지하차도는 5개소가 있다. 서구 비산동 신천대로에 위치한 팔달교지하차도는 총길이 515m, 북구 침산동에 위치한 침산교지하차도는 총길이 510m, 북구 침산동에 위치한 경대교지하차도는 총길이 385m, 중구 삼덕동 신천대로에 위치한 수성교지하차도는 총길이 460m, 달성군 유가면에 위치한 쌍계지하차도는 총길이 468m이다.

대구시설공단이 관리하는 특별법 3종 지하차도는 9개소가 있다. 북구 침산동 신천대로에 위치한 성북교지하차도는 총길이 565m, 북구 침산동 신천대로에 위치한 도청교지하차도는 총길이 415m, 중구 동인동3가 신천대로에 위치한 신천교지하차도는 총길이 497m, 중구 동인동3가 신천대로에 위치한 동신교지하차도는 총길이 583m, 중구 대봉동 신천대로에 위치한 대봉교지하차도는 총길이 500m, 남구 이천동 신천대로에 위치한 중동교지하차도는 총길이 550m, 달서구 상인동 앞산순환도로에 위치한 대서지하차도는 총길이 530m, 서구 비산동 구마지선에 위치한 매천대교지하차도는 총길이 500m이다.

구가 관리하는 지하차도는 수성구 4개소, 동구 2개소가 있다. 수성구가 관리하는 지하차도는 다음과 같다. 매호동에 위치한 매호지하차도는 총길이 6.6m[1981년], 가천동에 위치한 가천지하차도는 총길이 13.5m[1990년], 만촌1동에 위치한 망우당네거리지하차도는 총길이 57.2m[1997년], 만촌1동에 위치한 망우공원지하차도는 총길이 50m[1998년]이다. 동구가 관리하는 지하차도는 다음과 같다. 방촌동 화랑교 옆에 위치한 강촌지하차도는 총길이 65.3m[1996년], 동구 팔공산IC 진입로에 위치한 해서지하차도는 총길이 24m[2007년]이다.

[변천]

가장 오래된 지하차도는 1941년 중구 태평로3가 침산로에 위치한 태평지하차도이다. 태평지하차도는 총길이 193m이며 일반 지하차도이다. 1969년에는 동구 각산동 효성타운 남편에 48m의 구각산 지하차도가 준공되었으며, 1971년 북구 칠성동 통일로에 총길이 235m의 대구역지하차도, 1976년에는 동구 율하동 연료단지 입구에 총길이 80m의 안심지하차도가 준공되었다. 그 이후, 1980년대에는 5개소, 1990년대에는 23개소가 준공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 24개소가 건설되었다.

한편, 1969년 준공된 구각산 지하차도, 1976년 준공된 안심지하차도, 1989년 동구 효목1동 효목시장 서편에 준공된 검사지하차도와 동구 검사동 애생원 앞에 준공된 각산지하차도, 1991년 동구 지저동에 준공된 공항지하차도와 동구 효목동 동부로에 준공된 효목지하차도, 1992년 동구 효목1동에 준공된 대구선 지하차도 8개소는 철거되었다.

[참고문헌]
  • 「내부자료」(대구광역시 도로과, 2019. 12.)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