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391
한자 大邱 二次 循環線
영어공식명칭 Daegu Secondary Circulation Lin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태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대구 2차 순환선 -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서구 비산동|달서구 두류동|중구 남산동|남구 대명동|수성구 수성동|동구 신암동|북구 침산동지도보기
성격 도로
길이 14.6㎞
차선 왕복 4~10차선
25~40m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 서구 비산동, 달서구 두류동, 중구 남산동, 남구 대명동, 수성구 수성동, 동구 신암동, 북구 침산동을 순환하는 도로.

[개설]

대구의 도심을 중심으로 1차부터 4차까지의 4개 순환선 중 달성군을 제외한 7개 모든 구를 지나는 도로로 원대오거리에서 북비산네거리, 반고개네거리, 계명네거리, 명덕네거리, 건들바위네거리, 수성시장네거리, 범어네거리, MBC네거리, 동대구역네거리, 파티마삼거리, 공고네거리, 북침산네거리, 오봉오거리를 지나 원대오거리까지 다시 이어지는 순환도로이다.

[명칭 유래]

대구의 도심을 둘러싸는 순환도로 중 대구 1차 순환선대구 3차 순환선 사이에 있는 순환도로라서 ‘대구 2차 순환선’으로 명칭이 붙여졌다.

[제원]

원대오거리에서 반고개네거리, 공고네거리, 북침산네거리를 지나 다시 원대오거리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며, 연장은 14.6㎞, 폭은 25~40m이며 차선은 왕복 4~10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행 최대 제한 속도는 시속 50~60㎞이다.

[건립 경위]

대구의 단핵 도심과 도시 곳곳의 교통 혼잡을 막기 위하여 도심을 중심으로 도시의 외곽을 지나는 도로를 계획하는 과정에서 도시 내부 순환 및 도심 접근 도로인 대구 2차 순환선이 개설되었다. 대구 2차 순환선 안에는 대구 1차 순환선, 바깥으로는 대구 3차 순환선대구 4차 순환선이 개설되어 있다.

[현황]

대구 2차 순환선달서로, 명덕로, 동대구로, 아양로, 대현로, 침산남로가 연결되어 순환하고 있는 도로로 대구도시철도 1호선, 2호선, 3호선 모두가 연결되어 사람들이 이용하기 좋은 접근성이 높은 곳이다. 도시 내부 순환 및 도심 접근 도로인 대구 2차 순환선 인근에는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청 별관, 대구지방법원, 대구지방검찰청 등의 공공기관과 대구교대, 경북대, 대구대, 계명대 등의 교육기관 등이 집적되어 있어 인구 이동이 많은 곳이다. 그리고 KBC, MBC, 삼성증권 등의 기업 지점들과 주거지역이 밀집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