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학자인 최상룡 이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에 있는 봉무정 에서 한가로운 정취를 읊조린 한시. 최상룡(崔象龍) [1786~1849]은 본관이 ... 의 문집 『봉촌선생문집(鳳村先生文集)』 1권에 수록되어 있다. 「봉무정」 의 전문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봉정신축금호간(鳳亭新築錦湖干)[봉무정을 금호에...
-
.... 여기에서 팔공산 방면으로 계속 100m쯤 직진을 하면 좌측 길 건너 언덕 위에 봉무정 이 보인다. 최상룡 은 현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에 교육공간...봉무정 은 재사[기숙사]·정자뿐 아니라 향약을 실시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한편, 봉무정 은 한때 달성군 공산면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 일대]에 있던 강동 ...
-
조선후기 학자 최상룡 이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에 있는 봉무정 에 대해 적은 기문. 최상룡 [1786~1849]은 본관이 경주(慶州) 이다. 자는... 수 있으리라. 「봉무정기」 는 봉무동 , 봉무정 의 관계, 봉무정 건립 의의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기문을 구성하고 있다. 「봉무정기」 ...
-
조선 후기 학자인 최상룡 이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에 있는 봉무정 주변 열 가지 경치를 읊은 한시. 최상룡 [1786~1849]은 본관이 경주(慶州...타내기 위하여 선택한 구체적인 재료]로 한 칠언절구 10수(首)이다. 「봉무정십경」 [봉무정에서 바라 본 열가지 경치] 중 몇 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
조선 후기 학자인 최상룡 이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에 봉무정 을 지으면서 지은 봉무정 상량문. 최상룡(崔象龍) [1786~1849]은 본관이 경...봉무정상량문」 은 봉무정 주변의 경관묘사와 소개가 매우 상세하다. 봉무정 은 단순히 자연경관을 즐기기 위해서 지어진 정자가 아니다. 봉무정 은 최상룡 ...
-
... 남수명(南守明) , 이진용(李震容) 을 비롯한 여러 문인을 배출하였다. 만년에 봉무정(鳳舞亭) 을 지어서 오동나무와 대나무를 심고, 원근의 여러 벗과 학문을 강론하며 예...(在邇錄)」 은 수신제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특히 『봉촌문집』 에는 「봉무정십경(鳳舞亭十景)」 이 실려 있어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풍경에 대한 애정이 드러...
-
대구광역시 동구 에 속하는 법정동. 봉무동(鳳舞洞) 은 뒷산 모양이 봉이 춤추는 형색을 하고 있다 하여 이름한 것이라 설명하기도 하고 현재의 봉무정 에 호를 구축하기 위하여 땅을 파니 땅속에서 봉이 나와 북쪽으로 날아갔다 하여 봉이 춤추는 지역이라 봉무동 이라 불리어지게 되었다 설명하기도 한다. 봉무...
-
...모유(庭傳詩禮昆謨裕)[시례(詩禮)의 가학을 전수받아 후손에게 좋은 말씀 남기고]/안저도서학력진(案貯圖書學力眞)[책상에 도서들 쌓아놓고 배움을 평생 노력하여 참되게 쌓으셨네]/ 봉무정공계몽효(鳳舞亭空鷄夢曉)[봉무정은 비어있고 계명(鷄鳴)에 새벽 잠 깨니]/의연량월구정신(依然樑月舊精神)[의연히 들보에 걸린 달빛이 옛 정신을 비추네] 「만사」 [ 동구 ]...
-
...나이다. 그중에서도 강동 · 독암 지역의 최씨들은 봉촌(鳳村) 최상룡(崔象龍) 의 후손들이 주축이다. 따라서 최상룡 의 손길이 닿아 있는 독암서당 과 봉무정 은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의 인물·역사·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귀중한 유적이다. 독암서당 은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2호로 지정되었다가 20...
-
...의정(慕義亭) [ 김해김씨 ], 도동 의 구로정(九老亭) [ 향산구로 ], 둔산동 [ 옻골 ]의 동계정(東溪亭) [ 경주최씨 ], 봉무동 의 봉무정(鳳舞亭) [ 경주최씨 ], 송정동 의 서벽정(棲碧亭) [ 경주이씨 ], 신용동 의 계남정(桂南亭) [ 교하노씨 ], 중대동 의 동산정(東山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