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에 있는 조선 시대의 얼음 저장 창고. 우리나라의 얼음 관련 기록으로는 505년( 신라 지증왕 6)부터 1898년(광무 2)까지 얼음을 저장하...으로 추정된다. 뒷날 1713년(숙종 39)에 성균 진사 박상고(朴尙古) 에 의해 석빙고 가 만들어졌다는 내용이 석빙고 비문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경상북도 청도군...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에 있는 조선 시대 읍성. 청도읍성 은 고려 말에 토성으로 초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헌 기록으로는 임진왜란 이 일어나기 직전인 1591년(선조 2...밟기 를 진행하고 있다. 성 안팎으로는 당시 지방 행정 시설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청도 석빙고 [보물 제323호], 청도 동헌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403호], 도...
-
... 곳은 오늘날의 시·군청에, 작은 지역은 지금의 읍면사무소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청도읍성 의 가장 큰 특징은 읍성이 자리하고 있는 입지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지방의 읍...헐적으로 남아 있다. 아울러 성 안팎으로는 당시 지방 행정 시설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청도 석빙고 [보물 제323호], 청도 동헌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403호], 객사...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합천리 에 있는 통일 신라 때 절터. 청도군 화양읍 합천리 주변은 이서국 때 관아가 있었다고 하여 관촌(官村) , 또 넓은 들이라 하여 광당(...가 그동안 청도군 화양읍 서상리 의 개울을 덮은 돌다리로 사용되다가 화양읍 재개발 과정에 발견되어 현재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의 청도 석빙고 앞마당에 보존해 놓았다.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관하리 에 있는 조선 후기의 비석 떼. 관하리 비석 떼 은 매전면 관하리 원정자 마을 관하리 보건소 북쪽 관하천 건너편에 있는 바위 위에...직으로는 청산 현감, 청도 군수, 선산 부사, 청주 목사, 나주 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청도 군수로 있을 때 청도 석빙고 [보물 제323호]를 건립하였다. 조원붕 [1648...
-
경상북도 청도 의 국가 및 지방 지정 문화유산. 「문화재 보호법」에 의해 국가 지정 문화재와 시·도 지정 문화재로 구분할 수 있다. 청도군 내 문화재는 대다수가 불교 유적이...조 여래 좌상 , 청도 운문사 동호 , 청도 운문사 원응 국사비 , 청도 운문사 석조 여래 좌상 , 청도 운문사 석조 사천왕상 , 청도 석빙고 등이 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에 있는 계곡. 남산(南山) 의 북쪽 사면에서 발원하는 소하천이 만들어낸 남산 계곡 은 기암절벽과 소를 이루면서 맑은 물이 흐르는 아담한 규... 2㎞ 정도 올라가면 있다. 계곡 초입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청도 석빙고 가 있고, 이 외에 청도읍성 , 청도 향교 , 도주관 등 문화 유적...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 자는 은원(恩遠) , 호는 지암(芝巖) 이다. 고려 봉익대부 밀직 부사 박양언(朴良彦) 의 후예로, 두촌..., 성균관 에서 수학하였으며 도학(道學)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다. 고향으로 돌아와 청도 석빙고 를 축조하였으며, 후학들의 계도에도 힘썼다.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
-
경상북도 청도군 에서 연속 촬영으로 기록한 필름상의 화상을 스크린에 투영하여 영상으로 보여 주는 행위 또는 작품. 2012년 현재 청도군 에 소재하는 영화관은 공식적으로 없...과 함께 문화생활을 할 수 있도록 청도군 에서는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또한 청도 를 배경으로 촬영한 영화들로 2004년 청도 석빙고 를 배경으로 촬영한 「바람의...
-
경상북도 청도군 에서 인간적 요구와 건축 재료로 실용적·미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든 구조물. 건축(建築)은 인간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쉼터와 안락함을 제공할 뿐만 ... 남산 봉수 , 송읍리 봉수 가 남아 있다. 현재 전국에 남아 있는 6기(基)의 석빙고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되고 규모가 큰 청도 석빙고 는 1713년(숙종 39)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