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청도 의 국가 및 지방 지정 문화유산. 「문화재 보호법」에 의해 국가 지정 문화재와 시·도 지정 문화재로 구분할 수 있다. 청도군 내 문화재는 대다수가 불교 유적이...조 여래 좌상 , 청도 운문사 동호 , 청도 운문사 원응 국사비 , 청도 운문사 석조 여래 좌상 , 청도 운문사 석조 사천왕상 , 청도 석빙고 등이 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에 있는 계곡. 남산(南山) 의 북쪽 사면에서 발원하는 소하천이 만들어낸 남산 계곡 은 기암절벽과 소를 이루면서 맑은 물이 흐르는 아담한 규... 2㎞ 정도 올라가면 있다. 계곡 초입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청도 석빙고 가 있고, 이 외에 청도읍성 , 청도 향교 , 도주관 등 문화 유적...
-
경상북도 청도군 에서 연속 촬영으로 기록한 필름상의 화상을 스크린에 투영하여 영상으로 보여 주는 행위 또는 작품. 2012년 현재 청도군 에 소재하는 영화관은 공식적으로 없...과 함께 문화생활을 할 수 있도록 청도군 에서는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또한 청도 를 배경으로 촬영한 영화들로 2004년 청도 석빙고 를 배경으로 촬영한 「바람의...
-
경상북도 청도군 에서 인간적 요구와 건축 재료로 실용적·미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든 구조물. 건축(建築)은 인간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쉼터와 안락함을 제공할 뿐만 ... 남산 봉수 , 송읍리 봉수 가 남아 있다. 현재 전국에 남아 있는 6기(基)의 석빙고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되고 규모가 큰 청도 석빙고 는 1713년(숙종 39)에 ...
-
2010년 경상북도 청도 출신 김주곤 이 청도 를 소재로 하여 집필한 시집. 『청도 연가』 는 청도 출신 시인 김주곤 이 2010년 8월에 ‘문학예술 100인... 에서는 시인의 고향인 청도 를 모든 시의 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 청도 반시 '부터 명소인 ‘ 석빙고 ', ‘ 운문사 ', ‘ 비슬산 ', ‘ ...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에 속하는 법정리. 청도읍성 이 위치한 곳으로 청도군청 이전 전까지 청도군 의 모든 행정이 이루어지던 곳이다. 청도군 내에서 가장 면적이 작...언덕 위에 만들어진 마을이다. 읍성의 성벽을 따라 동쪽은 동천리(東川里) 가 되고 석빙고 위쪽으로는 교촌리 가 된다. 읍성의 북쪽 끝 부분부터는 약간의 경사를 이루면서 ...
-
1982년 간행된 경상북도 청도군 의 전통문화를 수록한 향토지. 『내 고장 전통문화』 는 경상북도 청도군 의 인물, 유적, 전설, 옛 풍습, 명승, 경관 등의 전통문화를... 선생 외 174명의 청도 인물], 제2장 현장의 발자취[ 이서국 의 흥망 외 청도 역사 관련 사실 19항목], 제3장 유적 유물의 모습[ 석빙고 외 문화 유적 유물...
-
경상북도 청도군 에 속하는 법정읍. 경상북도 청도군 서쪽에 위치한 읍으로 예로부터 내려오는 청도의 중심지역이다. 현재는 청도군 행정 구역 중 청도읍 다음으로 인구가 가...에는 주흘헌[동헌]과 객관인 도주관(道州館) 이 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만든 석빙고 [1713년]와 읍성이 남아 있어 옛 관청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청도 향교 ...
-
경상북도 최남단에 있는 군. 청도군 의 지세는 동서가 가늘고 길며 남북으로 짧고 협소한 형태이며, 청도군 의 중앙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용각산맥 을 경계로 산동과 산서... 이 있고, 서원과 전통사찰 등이 있다. 대구인근에서는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조선시대 관아건물과 석빙고 . 읍성 등이 남이 있어. 사시사철 많은 관람객이 탐방하고 있다.
-
1958년 전석봉 이 경상북도 청도군 에서 광복 이후 최초로 발간한 향토지. 『오산지』 , 『청도 문헌고』 는 유학자를 대상으로 편찬한 한문본 읍지인 데 반해 『도... 재사, 8절 금석문, 9절 천연 기념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로서는 판독이 불가능한 석빙고 의 비문이 수록되어 있다. 제3장 풍속 및 민요에서는 1절 연중행사, 2절 민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