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청도군 에서 연속 촬영으로 기록한 필름상의 화상을 스크린에 투영하여 영상으로 보여 주는 행위 또는 작품. 2012년 현재 청도군 에 소재하는 영화관은 공식적으로 없...과 함께 문화생활을 할 수 있도록 청도군 에서는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또한 청도 를 배경으로 촬영한 영화들로 2004년 청도 석빙고 를 배경으로 촬영한 「바람의...
-
경상북도 청도군 에서 인간적 요구와 건축 재료로 실용적·미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든 구조물. 건축(建築)은 인간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쉼터와 안락함을 제공할 뿐만 ... 남산 봉수 , 송읍리 봉수 가 남아 있다. 현재 전국에 남아 있는 6기(基)의 석빙고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되고 규모가 큰 청도 석빙고 는 1713년(숙종 39)에 ...
-
1982년 간행된 경상북도 청도군 의 전통문화를 수록한 향토지. 『내 고장 전통문화』 는 경상북도 청도군 의 인물, 유적, 전설, 옛 풍습, 명승, 경관 등의 전통문화를... 선생 외 174명의 청도 인물], 제2장 현장의 발자취[ 이서국 의 흥망 외 청도 역사 관련 사실 19항목], 제3장 유적 유물의 모습[ 석빙고 외 문화 유적 유물...
-
1958년 전석봉 이 경상북도 청도군 에서 광복 이후 최초로 발간한 향토지. 『오산지』 , 『청도 문헌고』 는 유학자를 대상으로 편찬한 한문본 읍지인 데 반해 『도... 재사, 8절 금석문, 9절 천연 기념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로서는 판독이 불가능한 석빙고 의 비문이 수록되어 있다. 제3장 풍속 및 민요에서는 1절 연중행사, 2절 민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