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 바다를 배경으로 청춘 남녀의 이별을 내용으로 한 대중가요. 「해운대 에레지」는 전체 3절의 장절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1절은 사랑의 맹세와 다짐에도 연인이 떠났음을 서러워하는 내용, 2절은 다시 만날 수 없는 연인을 잊기로 하고 미련을 버리겠다는 내용, 3절은 실연당한 연인이 정든 해운대를 떠나겠다는 내용을 각각 담고 있...
-
부산광역시에서 현지 촬영한 장진 감독의 영화. 각본·감독은 장진, 촬영은 최상호, 조명은 이병훈, 음악은 박근태, 무술 감독은 고현웅, 편집은 최민영이 맡았으며, 제작은 K&J엔터테인먼트, 제공은 CJ엔터테인먼트에서 맡았다. 정재영, 정준호, 류승룡, 민지환, 이문수 등이 출연하였다. 2006년 10월 19일 개봉하여 174만 4677명의 관객을 동원하였다. 부산 지역에...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등에서 현지 촬영한 박진표 감독의 영화. 각본·감독은 박진표, 촬영은 김태경, 조명은 홍승철, 음악은 박기현, 편집은 강경화가 맡았으며, 제작 및 배급은 영화사 집이 맡았다. 김명민, 하지원, 임하룡, 임성민, 최종률 등이 출연하였다. 2009년 9월 24일에 개봉하였으며, 개봉 이후 3주 연속 관객 동원 1위를 기록하면서 흥행 질주를 하였고 결국...
-
부산광역시에서 현지 촬영한 한국 영화 최고 흥행작이었던 윤종빈 감독의 영화. 감독은 부산 출신 윤종빈, 촬영은 고락선, 조명은 이승원, 음악은 조영욱, 편집은 김상범이 맡았다. 제작은 쇼박스 미디어플렉스와 팔레트픽처스, 배급은 쇼박스 미디어플렉스에서 맡았다. 최민식, 하정우 등이 출연하였다. 2012년 2월 2일에 개봉하였으며 개봉 5일 만에 120만 관객을 돌파하여 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등에서 현지 촬영한 진광교 감독의 영화. 감독은 진광교, 촬영은 이기원, 조명은 김유신, 음악은 이종교, 이창희, 편집은 고임표가 맡았다. 제작은 시네라인 인네트 , 배급은 쇼박스 미디어플렉스에서 맡았다. 박용우, 남궁민, 왕지혜가 주연을 맡았다. 2007년 3월 29일에 개봉하였으며 43만 5890명의 관객을 동원하여 흥행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
부산광역시에서 현지 촬영된 부산의 지역성과 정서를 담은 최호 감독의 영화. 감독은 최호, 각본은 최호·윤덕원, 촬영은 오현제·박상훈, 조명은 임재영, 음악은 김상만, 무술 감독은 신재명, 편집은 김상범, 김재범이 맡았으며, 제작 및 배급은 MK픽처스에서 맡았다. 2006년 4월 26일 개봉하였으며 210만 4716명의 관객을 동원하였다. 류승범, 황정민, 김희라, 추자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남구 대연동, 해운대에서 현지 촬영한 전수일 감독의 영화. 각본·감독은 전수일, 촬영은 김대선, 음악은 레이니 선(Rainy Sun)이 맡았다. 편집은 박순덕, 동시 녹음은 박혁곤, 의상은 김현진, 프로듀서는 조인숙, 조명은 김계중, 분장은 이지원, 제작은 전수일과 동녘필름, 배급은 씨네월드가 맡았다. 설경구, 김소희, 김정태, 이재용 등이...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강서구 녹산동, 해운대구 우동에서 현지 촬영한 박찬욱 감독의 영화. 감독은 박찬욱, 각본은 정서경·박찬욱, 촬영은 정정훈, 조명은 박현원, 음악은 조영욱, 미술은 오제관·류성희, 무술 감독은 권승구, 편집은 김상범이 맡았으며, 제작은 모호필름, 배급은 CJ엔터테인먼트에서 맡았다. 임수정, 정지훈, 최희진, 이용녀, 유호정 등이 출연하였다. 20...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연제구 거제동 등에서 현지 촬영한 정기훈 감독의 영화. 감독은 정기훈, 기획은 임건중, 각본은 정기훈·윤애리·김경모, 촬영은 박용수, 조명은 최철수, 음악은 김준석, 무술 감독은 박영식, 편집은 이현미가 맡았다. 제작은 시리우스 픽쳐스, 배급은 시너지에서 맡았다. 최강희, 김영애, 배수빈, 최일화, 성병숙 등이 출연하였다. 2009년 9월 9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북구 화명동, 연제구 거제동 등에서 현지 촬영한 한재림 감독의 영화. 각본·감독은 한재림, 촬영은 박용수, 조명은 송택준, 음악은 칸노 요코, 편집은 김선민, 무술 감독은 이홍표, 특수 효과는 김병기가 맡았다. 제작은 루씨필름, 제공은 롯데엔터테인먼트에서 맡았다. 송강호, 오달수 등이 출연하였다. 2007년 4월 5일 개봉하였으며 전국 102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수영구 광안동, 영도구 동삼동 등에서 현지 촬영한 곽경택 감독의 영화. 각본·감독은 곽경택, 기획은 석동준, 조감독은 이경식, 촬영은 홍경표, 조명은 유영종, 음악은 김형석, 무술 감독은 신재명, 특수 효과는 신재호·정도안·강종익, 편집은 박광일이 맡았다. 제작은 진인사필름, 제공은 CJ엔터테인먼트에서 맡았다. 장동건, 이정재 등이 출연하였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동래구 사직동 등에서 현지 촬영한 윤제균 감독의 영화. 각본·감독은 윤제균, 촬영은 김영호, 조명은 황순옥, 음악은 이병우, 편집은 신민경이 맡았으며, 제작은 JKFILM, 배급은 CJ엔터테인먼트가 맡았다. 설경구, 하지원, 박중훈, 엄정화, 이민기, 강예원, 김인권, 송재호 등이 출연하였다. 2009년 7월 22일에 개봉하였으며 2009년 흥...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남구 용호동, 사하구 감천동 등에서 현지 촬영한 일본 영화. 「히어로」는 일본의 스즈키 마사유키 감독의 드라마 영화로, 각본은 후쿠다 야스시, 기획은 카메야마 치히로, 음악은 하토리 타카유키가 담당하였다. 기무라 타쿠야, 마츠 타카코 등이 출연하였으며, 후지TV, 싸이더스F&H가 제작하였다. 이병헌이 우정 출연하였다. 2001년 방...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부산시립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화가 월천 진강백의 작품. 월천(月川) 진강백(陣剛栢)[1938~2007]은 1938년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태어나, 청초(靑草) 이석우(李錫雨)에게 사사하였으며 1975년 부산 현대 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다. 진강백은 1960년 후반부터 1970년대 사이의 사회상을 담은 현실 풍경...
-
부산 지역에서 활동했던 화가 민용식의 반추상 풍경화. 민용식(閔龍植)은 국립북경예술전문학교[현 북경예술대학] 서화과와 연구과를 졸업하고, 1940년대부터 부산에서 작품 활동을 하였다. 흥아미술전 및 경남미술전과 같은 관전에도 자주 출품하였으며, 1950년대 이후 청맥전 창립 회원, 군록전, 후기회전과 같은 동인회를 통하여 끊임없이 작품 활동을 하였다. 「고산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부산시립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부산 출신 서양화가 김종식의 1950년대 대표작. 「닭을 안은 여인」은 김종식(金鐘植)[1918~1988]의 1956년도 작품으로서 형체를 단순화한 인물과 동물의 모습과 함께 강렬히 대비되는 색채를 사용하였다. 크기는 56×85.5㎝ 로 나무 위에 작업한 유채 작품이다. 하얀 옷을 입은 주인공인...
-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양달석의 구상 회화. 캔버스에 유채로 그렸으며, 크기는 80.5×65㎝이다. 「목동」은 1954년 양달석(梁達錫)이 그린 작품으로, 소와 목동 그리고 아이들이 산과 들판에서 자유롭고 평화롭게 노니는 모습을 그렸다. 영남 지방의 자연적 환경과 풍광의 특징을 목가적인 화풍으로 표현하였다. 소와 목동, 산과 들을 주요 소재로 하...
-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나건파의 사실화. 1979년 개발 과정에서 헐린 부산세관은 부산 시민의 정서에 뚜렷이 남아 있는 근대 건축물이다. 나건파(羅建巴)가 1965년에 그린 「부산세관」은 보관 상태도 극히 양호하고, 전문가들로부터 호의적인 평가를 받는 작품이기도 하다. 캔버스에 유화로 그렸으며, 크기는 130.3×89.4㎝이다. 「부산세관」은 부산세관의 건...
-
부산 지역에서 활동했던 화가 김영교의 풍경화. 김영교(金令敎)는 대구광역시 출신으로, 일본 유학 이후 부산에 정착하여 부산 현대 미술 1세대 작가로 분류된다. 김수석, 오용귀 등의 스승으로 후일 이들이 일선(一線) 동인으로 활동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김영교의 화풍은 후기 인상파의 전형적 양식인 세부적인 묘사보다는 대상을 단순화하고 경쾌하면서도 견고한 필...
-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김경의 인물화. 김경(金耕)은 경상남도 하동 출생으로, 일본 도쿄(東京)에 있는 니혼대학[日本大學] 미술학과를 중퇴하고 부산에서 초등학교 교사로 활동하였다. 김종식·김영교와 ‘토벽’ 동인, 하인두 등과 ‘청맥’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1956년 부산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으며, 1959년부터 1961년까지 모던아트 협회전을 가졌고, 19...
-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김남배의 유화. 「어린 시절」은 백양 김남배(金南倍)가 부산에서 백양 다방을 운영하던 시절인 1950년대 말 제작한 작품이다. 김남배는 경상남도 김해 출신으로 서성찬, 양달석과 함께 1937년 부산 최초의 미술 동인인 춘광회(春光會)를 결성하였다. 이후 1949년 임호, 김종식 등과 함께 경남미술연구회와 혁토사(爀土社), 토벽(土壁)...
-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김원갑의 풍경화. 캔버스에 유채화로, 크기는 44×52㎝이다. 「울릉도」는 김원갑이 1972년 울릉도 도동항의 실제 모습을 묘사한 작품이다. 울릉도의 실경을 김원갑 특유의 비구상 작업 스타일로 그렸는데, 사물의 모습을 단순화시킨 색면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일부 사물은 구체적 모습으로 병치하여 배경과 물체의 조화를 노리고 있다...
-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김원의 인물화. 캔버스에 유채로 그렸으며. 크기는 117×91㎝이다. 「인간상」은 시장 어귀와 골목 등에서 만나는 실제 열쇠 장수를 모델로 한 인물화다. 토속적인 면을 지향한 이미지와 오브제의 공존에서 오는 지극히 한국적인 면을 화폭에 표현하였다. 「인간상」은 1959년 김원이 제작한 작품으로, 당시 남포동과 광복동에서 부...
-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서성찬의 유채 사생화. 나무판 위에 유채로 그렸으며, 크기는 40×52㎝이다. 「정물」은 1957년 서성찬(徐成贊)이 모란꽃을 그린 사생화 작품이다. 캔버스가 귀한 시절이어서 나무판 위에 유채로 작업한 것으로, 명암의 대비 효과와 힘 있는 필치가 특징이다. 「정물」은 명암의 대비와 색상의 간결함이 빠르고 견고한 필치로 완성...
-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우신출의 풍경화. 캔버스에 유채로 그렸으며, 크기는 41.2×22.2㎝이다. 「조선장」은 1974년 우신출(禹新出)이 을숙도 갈대밭을 소재로 작업하였던 작품 중 한 점으로, 을숙도 부근 갈대밭에 있는 어선 건조장 풍경을 그렸다. 특별한 특징은 없으나 갈대밭의 풍경과 건조 중인 어선의 모습이 다소 높은 위치의 수평 구도로 배치되어 있다...
-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김한종의 구상화. 캔버스에 유채로 그렸으며, 크기는 40.9×31.8㎝이다. 「풍경」은 다소 몽환적 분위기로 표현되어 있는데, 마치 안갯속에 갇혀 희미하게 실체를 드러내지 않거나, 물 위에 되비친 형상들을 잡아 낸다. 그 구체적인 형상을 확인하기가 힘들지만 물가에 지어진 집들을 멀리서 보고 그린 것으로 보인다. 평소에 김한종(金漢宗)...
-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한국화가 허민의 동양화. 화선지에 그린 실경 산수화로, 크기는 63×43㎝이다. 연대 미상의 「풍경」은 원경에 산이 배치되어 있고 태점(苔點)을 사용했지만 산수화풍의 산은 아니다. 근경에 소로 논갈이를 하는 인물의 모습이나 농경지, 짐을 머리에 인 여인의 뒷모습. 집 몇 채가 드문드문 모여 마을을 이루고 그 사이로 난 길과 방풍림, 그 끝이 바다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해운대 해수욕장에 건립된 조용필(趙容弼)의 노래비. 부산을 노래하는 대표적인 가요인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기념하기 위해 1994년 5월 7일 ‘부산을 가꾸는 모임’[회장 최해군]을 중심으로 3000만 원의 제작비를 들여 건립되었다. 조용필 노래비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해운대 해수욕장 호안 도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동백섬에 있는 인어 동상. 동백섬 인어상은 1974년 5월 해운대 동백섬 순환 일주 도로 동쪽 30m 지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708번지, 조선 비치 호텔 동쪽 100m 지점] 해안가 갯바위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김정숙이 높이 2.5m의 청동 입상으로 제작하였다. 그러나 1987년 7월 15일에 부산 지역을 강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