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때 동래읍성에서 순절한 유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동생은 양통한(梁通漢)이고, 아들은 양홍(梁鴻)이며, 손자는 양부하(梁敷河)이다. 양조한(梁潮漢)[?~1592]은 동래 향교의 훈도(訓導)로서 1592년 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공자(公子) 등 동래 향교에 배향된 5명의 신위가 왜군의 손에 더럽히지 않도록 동래부 관아의 객사인 정원루로 옮기고 나머지 성현의 신...
남북국 시대 부산 지역의 해운대(海雲臺)를 명명한 신라의 학자 겸 문장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고운(孤雲) 또는 해운(海雲). 아버지는 숭복사의 전신인 곡사(鵠寺)의 중창 사업에 참여한 최견일(崔肩逸)이고, 형은 해인사 승려 현준(賢俊)이다. 당제(堂弟)는 헌강왕(憲康王) 대 견당 사절단의 녹사(錄事)였던 최서원(崔栖遠)이다. 최치원(崔致遠)[856~?]은 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