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985 |
---|---|
한자 | 釜山民主化實踐家族運動協議會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동일 |
[정의]
부산광역시에 있는 양심수 가족 단체.
[개설]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는 유신 독재 시기였던 1974년에 일어난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을 계기로 만들어진 구속자가족협의회[구가협]를 모태로 하며, 1976년의 양심범가족협의회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 사건과 재일 교포 간첩단 사건 등 유신 독재 시절부터 정치적 박해를 받았던 그 가족들과, 1985년 미국문화원 사건, 민정당 연수원 점거 농성 사건 등 민주화를 요구하다 구속된 수많은 학생들의 가족들로 외연을 확대하여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로 설립되어 활동해 왔다. 2000년대 이후에는 회원들의 고령화로 인해 활동이 줄어들고 있다.
[설립 목적]
군사 독재 정권하에서 수많은 청년·학생, 노동자, 민주 인사들이 구금되었는데,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 등의 수사 기관과 교도소에서의 고문 등 심각한 인권 유린에 맞서 양심수들과 연대하고, 궁극적으로 양심수들을 석방시키기 위해 양심수 가족들이 중심이 되어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를 결성하였다. 부산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는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의 부산 지역 단체로서 1985년 12월 12일에 같은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는 주요 사업으로 양심수를 위한 시와 노래의 밤 공연, 하루 감옥 체험, 시민 가요제, 인권 콘서트, 인권 만화전, 인권 영화 제작 등을 전개하고 있다. 인권 이슈를 사회 공론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문화 예술적 양식을 개발하고, 우리 사회 여론 주도층의 다양한 참여를 유도하는 등 대중적 인식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1993년에 이인모 노인 고향 가기 운동을 전개하고, 1995년에는 세계 장기수 김선명 석방 캠페인 등의 지속적인 운동을 전개하여 2000년 9월 3일에 마침내 63명의 비전향 장기수가 북녘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또한 고문 경관 이근안에 대한 처벌 및 검거 운동을 전개해 1999년 10월에 이근안이 자수하여 구속되는 데 일조하였다. 더불어 「국가보안법」, 「사회 안전법」, 「보안 관찰법」 등 민주주의와 인권에 역행하는 법들의 철폐를 위해 노력한 결과 「사회 안전법」[1989년]과 전향 제도[1998년], 준법 서약서[2003년]가 폐지되기도 하였다.
[현황]
부산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는 1980년대 자녀들이 노동 현장에서 구속되거나 탄압받았던 부모들로 구성된 민주계와, 학생 운동 과정에서 구속되어나 탄압받았던 부모들로 구성된 통일계로 성격이 나누어져 있었다.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활발한 활동을 펼쳐 왔으나, 점차 회원들이 고령화됨으로써 활동이 축소되고 있다. 2014년 현재 민주계 15여 명과 통일계 40여 명 정도가 모임을 가지고 있다. 1년에 한 번 민주 공원에서 주최하는 기념 사업회에 참가하여 민주 운동에 대한 역사를 증언해 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는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인권 의식 확산을 기하기 위한 활동을 벌여 오고 있다. 양심수 석방, 「국가보안법」을 비롯한 비민주적인 법 제도 개선 운동, 「테러 방지법」 제정 반대 운동을 통한 비밀 정보 기구 개혁 촉구 운동은 물론이고,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권을 인권의 문제로 인정할 것과 대체 복무제 도입 운동, 「보안 관찰법」 폐지 운동, 성적 소수자 등 소수자들의 인권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이며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인권 문제를 사회 의제화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