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보훈병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008
한자 釜山報勳病院
영어공식명칭 Busan Bohun Hospital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 420[주례동 23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성향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의료 기관|종합 병원
설립자 한국원호복지공단|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전화 051-601-6000
홈페이지 부산보훈병원(http://busan.bohun.or.kr)
설립 시기/일시 1984년 4월 3일연표보기 - 부산보훈병원 개원
이전 시기/일시 1992년 5월 15일 - 부산직할시 동구 범일동에서 사상구 주례동으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5월 6일 - 병원 증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6월 7일 - 외래 진료 센터 개소
최초 설립지 부산보훈병원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62-720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보훈병원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 235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보훈병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 420[주례동 235]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종합 의료 기관.

[개설]

종합 병원은 「의료법」 제3조 3항에 의하여,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대형 의료 기관이다. 300병상 이하인 종합 병원의 경우에는 내과·외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중 3개 진료 과목, 영상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7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한다.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 병원의 경우에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및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한다.

[설립 목적]

부산보훈병원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산하 기관으로, “최상의 보훈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훈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한다.”는 미션 아래, 독립 유공자를 비롯한 국가 유공자, 세계 평화와 자유 수호를 위해 참전한 사람들의 진료와 중상이자(重傷痍者)[아주 심하게 부상을 당한 사람]에 대한 재활 및 복지 증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84년 4월 3일 부산직할시 동구 범일동 62-720번지[현 한성 기린 아파트 부지]에 부산보훈병원을 개원하였다. 1992년 5월 15일 주례동으로 신축[240병상] 이전하였고, 2005년 5월 6일 병원을 증축[540병상]하였다. 2011년 6월 7일 외래 진료 센터를 개소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보훈병원은 가정의학과, 내과, 마취통증의학과, 병리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신경외과, 안과, 영상의학과, 외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정신과, 정형외과, 진단검사의학과, 치과, 피부과, 응급의학과, 한의과 등을 운영하고 있다.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위하여 병원 이용 환자와 가족의 상담과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사회 사업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부산보훈병원은 본관[지하 1층 지상 7층], 신관[지하 1층], 별관[지상 6층], 동관[지하 1층 지상 7층], 재활·신검·장례식장[지상 5층] 등 5개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22개 진료과에 총 540병상을 갖추고 있다. 전문의·의사 등 의료진을 포함하여 총 570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MRI[I-Class], 심혈관 촬영기[Innova 4100], CT 촬영기[LS-16], 엑스선 촬영기[XR/d], 초음파 진단기[Sequioa-512], 내시경 시스템[CV-260SL], 체외 충격파 쇄석기[SDS-5000], 관절경 시스템[IM-4000], 복강경 시스템[1188HD], 마취기[Astiva-7900] 등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보훈병원은 국가 유공자 및 그 가족,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첨단 장비와 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하여 사회 사업실, 호스피스 뿐 아니라 무료 이동 진료와 재활 체육관을 개방하여 의료 소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