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724
한자 釜山科學技術大學校
영어음역 Han Bok Nam
이칭/별칭 성지공업전문학교,성지공업전문대학,부산전문대학,부산정보대학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시랑로132번길 88[구포동 57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남윤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대학
설립자 정태성
전화 051-334-6666
홈페이지 부산과학기술대학교(http://www.bist.ac.kr)
설립 시기/일시 1976년 12월 31일 - 성지공업전문학교 설립 인가
해체 시기/일시 1977년 3월 17일 - 성지공업전문학교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83년 2월 20일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 산 55-1에서 우암동 38-1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85년 1월 5일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서 북구 구포동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79년 1월 1일연표보기 - 성지공업전문학교에서 성지공업전문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8년 5월 1일연표보기 - 성지공업전문대학에서 부산정보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2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정보대학에서 부산과학기술대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4년 5월 30일 - 학교 법인 서린학원 산하로 변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6년 8월 1일 - 중앙학원 산하로 변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6월 19일 - 교과부로부터 2007년 전문 대학 특성화 사업 연차 평가 우수 사업단으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2월 24일 - 교과부로부터 부산직업교육혁신센터 운영 대학으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7월 1일 - 교과부로부터 해외 산업체 연계 외국인 유학생 교육선도 전문 대학 육성 사업에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3월 16일 - BIST Vision 2020 선포식 개최
최초 설립지 성지공업전문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 산 55-1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성지공업전문대학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 38-1
주소 변경 이력 부산전문대학 - 부산광역시 북구 시랑로 132번길 88[구포동 570]
현 소재지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부산광역시 북구 시랑로 132번길 88[구포동 57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소통형 인격 교육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직업인 양성, 현장 밀착형 기술 교육으로 창의적인 기술인 양성, 외국어·리더십 및 소양 교육으로 진취적인 전문인 양성’이며, 교훈은 ‘창의(創意)·진리(眞理)·봉사(奉仕)’이다.

[변천]

1976년 12월 31일 성지공업전문학교 설립[이사장 정태성] 인가[4개 학과, 800명]를 받아, 1977년 3월 17일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 개교하였다. 1979년 1월 1일 성지공업전문대학으로 개편하였고, 1983년 2월 20일 우암동 38-1로 이전하였다. 1984년 5월 30일 학교법인 서린학원 산하로 변경하였고, 1985년 1월 5일 북구 구포동으로 이전하였다. 1986년 8월 1일 법인 변경으로 중앙학원 산하로 변경하였고, 1998년 5월 1일 부산정보대학으로 개칭하였다. 2012년 3월 1일 부산과학기술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교육 활동]

‘홍익 기술(弘益技術)[홍익인간의 이념과 정신에 기초한 인격 교육과 특성화된 기술교육으로 기술 입국을 실현하는 인재를 양성한다]’의 교육 이념 아래, ‘진리 탐구와 과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인성과 창의적인 실용 기술을 갖춘 신 기술인을 양성한다’는 대학의 사명에 따라, 사회에 봉사하는 직업인, 창의적인 기술인, 진취적인 전문인의 ‘홍익 기술인’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개교 35주년을 맞아 제2의 창학을 통해 대학을 혁신하기 위해 선포한 ‘BIST Vision 2020’에는 2020년까지 50대 과제를 해결하여 교육력 강화를 통한 차별화된 교육 체제 구축, 행정력 강화를 통한 내실 있는 행정 체제 구축, 경영력 강화를 통한 소통하는 경영 체제 구축 등의 전략 목표가 담겨 있다.

2008년 6월 19일 교과부로부터 2007년 전문 대학 특성화 사업 연차 평가 우수 사업단으로 선정되었으며, 2010년 2월 24일 교과부로부터 부산직업교육혁신센터 운영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11년 7월 1일에도 교과부로부터 해외 산업체 연계 외국인 유학생 교육 선도 전문 대학[Global Hub College] 육성 사업에 선정되었다. 2012년 3월 16일 ‘BIST Vision 2020’ 선포식을 통해 ‘지역 사회와 소통하며 꿈을 실현하는 과학 기술 허브(Hub) 대학 달성’을 표방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형기, 작곡 이상근, 편곡 이은섭]

배달겨레 큰 젖줄 낙동강 물결/ 바다로 흘러드는 백양 기슭에/

슬기를 닦는 전당 입네 배움의 횃불 타는/ 뜻을 모으니 창의 진리 봉사/

새 역사 만들 젊은이들 꿈을 키운다/ 장하다 빛나는 이름 부산과학기술대학교

2) 교목: 느티나무이다. 억센 줄기는 강한 의지를, 고루 퍼진 가지는 조화된 질서를, 단정한 잎들은 예의를 상징한다. 대학의 중단 없는 발전과 영원한 번영을 의미한다.

3) 교수(校獸): 반달가슴곰이다. V자 모양의 흰색 반달 모양은 승리[Victory]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대학의 미래를 향한 승리의 의지를 담고 있다.

[현황]

2012년 8월 현재 총 교지 면적 12만 7196㎡에 대학 본부[총장, 부총장, 대외 협력 본부장, 기획처, 교학처, 입학 관리처, 산학 협력처, 행정 지원처, 비서 팀], 5개 학부[첨단 공학부(3개 계열, 7개 학과), 디자인학부(4개 학과), 관광학부(1개 계열, 3개 학과), 보건 웰빙학부(1개 계열, 5개 학과), 인문 사회학부(2개 계열, 2개 학과)]에 7개 계열, 21개 학과, 5개의 부속 기관[종합 정보원, 평생 교육·어학원, 국제 교육원, 박물관, 예비군 대대], 산학 협력단 산하 5개의 기구[중소기업지원센터, 학교기업지원센터, BB21사업단, 기술사관육성사업단, GHC사업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은 총 9,333명[정원 외 815명, 외국인 학생 88명, 어학 연수생 31명]이 재학하고 있으며, 전임 교원 131명, 비전임 교원[겸임 교수, 초빙 교수, 시간 강사] 270명, 일반직·기술직·기능직원 34명 등 총 435명의 교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참고문헌]
  • 대학알리미(http://www.academyinfo.go.kr)
  • 부산과학기술대학교(http://www.bist.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