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057
한자 環境-自治硏究所
이칭/별칭 부산환경연구소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62[중앙동 5가 6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승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민 단체
설립자 조경제
전화 051-464-4401
홈페이지 환경과 자치연구소(http://eni.kfem.or.kr)
설립 시기/일시 1995년 1월연표보기 - 부산환경연구소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98년 9월연표보기 - 부산환경연구소에서 환경과 자치연구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9년 3월 26일연표보기 - 환경과 자치연구소에서 환경과 자치연구소[사단 법인]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3월 26일 - 사단 법인 설립 허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5월 9일 -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
최초 설립지 부산환경연구소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5가 67 대교 빌딩 3층지도보기
현 소재지 환경과 자치연구소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62[중앙동 5가 6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5가에 있는 환경 관련 시민 단체.

[개설]

환경과 자치연구소는 환경 분야를 비롯하여 사회, 경제, 이·공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환경 운동의 전문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고, 객관성과 신뢰성 있는 환경 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민간 환경 연구소이다. 이를 ‘부산환경연구소’라고도 한다.

[설립 목적]

환경과 자치연구소는 지역 환경 문제에 대한 조사 및 연구 등을 통하여 환경 문제 해결의 올바른 방향과 정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95년 1월 부산환경운동연합의 부설 기관인 부산환경연구소로 중앙동 5가에 발족하였다. 1998년 9월 환경과 자치연구소로 변경하였고, 1999년 3월 26일 사단 법인 설립 허가[환경부]를 받아 환경과 자치연구소[사단 법인]로 변경하였다. 2000년 5월 9일 부산광역시에 비영리 민간단체로 등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환경 문제에 관한 조사, 연구, 자문 및 각종 자료집을 발간하고 있고, 지역 주민과 함께 지역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지역 사회 내에서의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간행하고 있다. 기후 변화와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책 연구 및 시민 교육 사업을 펼치고 있고, 건강한 사회를 위한 식품 안전 및 생활 속 유해 물질 추방 운동을 하고 있다. 분야별 사업으로는 물·습지·낙동강 등의 보호 사업과 저탄소 녹색 도시를 위한 구·군 그린 리더 양성 교육과 탈핵에너지 전환을 위한 주민 교육 등 녹색 자치·생태 도시 분야의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현황]

환경과 자치연구소의 조직은 2012년 현재 이사장, 소장, 이사회[이사장 포함 14명] 연구 기획실[수질 분과, 대기 분과, 생태 분과, 기후 에너지 분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0여 명의 전문가들이 환경 문제에 대한 조사 및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기획실장 1명, 연구 위원 3명 등, 4명의 상근 연구원이 근무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환경과 자치연구소는 부산 지역 환경 운동의 전문성과 객관성,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싱크 탱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전문적인 환경 단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