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715
한자 橋梁
영어의미역 Brid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남진

[정의]

부산광역시에 있는 지형지물의 위로 건널 수 있도록 만든 인공 구조물.

[발달 배경]

교량은 하천이나 계곡 또는 움푹 꺼진 땅과 같이 도로의 기능을 저해하는 지형을 넘기 위해 만들어진 구조물이다. 부산 지역에는 낙동강수영강, 부산천, 동천 등 여러 하천이 흐르고 있어 교통의 장애 요소로 작용함으로써 도로가 개설되었다. 하천 지류나 소하천의 교량은 이섭교와 세병교 등과 같이 조선 시대부터 조성되었으며, 이후 도로가 개설되면서 늘어나게 된다. 개항기를 거치면서 부산 지역에는 부산의 상징과 같은 다양한 교량들이 건립된다.

부산 지역에 대규모의 교량 조성 공사가 이루어진 것은 일제의 대륙 침략을 위한 보급 및 수송로 구축 사업의 일환이었다. 1932년 3월 7일에는 당시 국내는 물론 아시아에서 가장 긴 교량인 구포교가 완공되었다. 구포교낙동강의 유일한 교량으로 나룻배로 건너던 낙동강을 육로로 연결함으로써 서부권과 구포를 연결하게 된다. 또한 1934년 11월 23일에는 국내 최초의 연륙교인 영도 다리가 준공되었다. 산과 강, 바다가 있는 부산은 도로 건설에서 지형적 장애 요소가 많아, 고속 국도의 건설과 내부 도로 개설 등으로 교량이 급증하고, 유료 교량도 늘어나게 된다.

[현황]

부산광역시는 2012년 현재 427개의 교량이 9만 3,788m의 연장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도로별 교량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이중 고속 국도 교량은 구포 낙동강교[부산], 구서교[부산], 노포교[부산], 녹동육교 등 44개가 있으며 국도 교량은 광무교, 구포 대교, 화명교 등 30개가 있다. 광역시도 교량은 영주 고가교, 대영 고가교 등 124개가 있고 국가 지원 지방도 교량은 송정 1호교, 눌차 대교, 가덕 대교 등 12개가 있다. 구도 교량은 산복교, 보수교, 보수 중복교, 해오름 다리 등 121개가 있고 군도 교량은 연화교, 병산교, 덕산교 등 22개가 있으며 농어촌도 교량은 15개가 있다.

그 외 고가교로 영주 고가교, 대영 고가교, 자성 고가교, 좌천 고가교, 충장 고가교, 가야 고가교, 부암 고가교, 원동 고가교, 감만 고가교, 문현 고가교, 대연 고가교, 우암 고가교, 우암 고가 접속 상·하행, 반여 고가교, 석대 고가교, 우동 고가교, 장산 고가교, 구서 고가교, 동천 고가교, 회동 고가교, 수영 고가교, 모라 고가교, 동서 고가교 등 21개가 있고, 과선교 8개도 있다.

[부산의 주요 교량]

1. 연륙교

부산의 가장 큰 섬인 가덕도와 두 번째로 큰 섬인 영도를 연결하는 교량이 건설됨으로써 2개의 섬은 부산 지역과의 접근성 향상으로 급속한 발전을 하게 된다. 영도와 연결된 연륙교로는 영도 대교부산 대교, 북항 대교남항 대교가 있으며, 가덕도가덕 대교와 눌차 대교를 통해 연결된다. 가덕 대교와 눌차 대교는 가덕 터널가덕 해저 터널을 통과해 거제도까지 이어지는 거가 대로의 일부이다.

2. 낙동강의 교량

부산 강서구와 김해, 양산과 부산의 북구, 사상구, 사하구를 가로지르는 낙동강은 구포와 호포 등 포구를 통해 연결되던 지역이었으나, 1932년 3월 7일 완공된 구포교를 시작으로 육로로 연결된다. 낙동강의 동서를 연결하는 교량은 현재 2012년 7월 개통된 대동 화명 대교까지 총 10개가 건설되어 있다. 부산권에서는 최북단이 대동 화명 대교로 김해와 바로 연결되고 남쪽으로 내려오면 남해 고속 도로 교량, 구포 대교, 구포 철교, 중앙 고속 도로 교량, 부산 김해 경전철 교량, 신낙동 대교[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 교량], 낙동강 하구둑, 을숙도 대교, 신호 대교가 있다.

구포교는 2003년 태풍 매미로 상판 붕괴가 일어나고 보존되어 오다가 2008년 12월 완전 철거되어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 서부산 지역의 발달과 창원·마산 등 서부 경남 지역과의 접근성이 중요해지며 낙동강에는 남해 고속 도로중앙 고속 도로,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이 건설되고 도시 철도와 경전철이 건립되며 교량이 늘어났고, 신항만 건설과 김해·양산과의 연계가 중요해지며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3. 해안 교량

부산 지역은 부산 신항~북항~광안 대교 간을 교량 및 터널로 연결하고 동부산에서 서부산[거제]까지 이어지는 해안 순환 도로의 건설을 통해 물류 수송을 원활히 하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거가 대교에서 광안 대교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52㎞의 구간[해운대 벡스코 요금소~거제시 장목면]으로 교량 7개소[광안 대교, 북항 대교, 남항 대교, 을숙도 대교, 신호 대교, 가덕 대교, 거가 대교]와 천마 터널이 이어진다. 7개의 부산 해안 교량들은 현수교, 트러스교, 사장교, 아치교, 연속교 등 다양한 공법으로 건설되었으며, 해안 경관과 잘 어우러진 부산의 상징물이자 관광 자원이다. 해안 교량 연결 사업은 접근성의 향상과 남해를 연결하는 해안 관광지 조성 사업으로서 ‘Bridges of Busan’이라는 도시 브랜드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