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711
한자 京釜高速道路
영어의미역 Gyeonbu Expressway
이칭/별칭 고속 국도 제1호선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규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속 도로
길이 416.05㎞
차선 왕복 4~8차선
22.4m
준공 시기/일시 1969년 12월 19일연표보기 - 부산~대구 구간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7년 4월 29일 - 건설 계획 발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7년 12월 13일 - 추진 위원회 구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0년 7월 7일 - 전 구간 개통
전구간 경부 고속 도로 - 부산광역시 금정구~서울특별시 서초구
해당 지역 경유 구간 경부 고속 도로 - 부산광역시 금정구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기점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까지 연결되는 고속 도로.

[개설]

경부 고속 도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기점으로 하고, 양산, 언양, 경주, 대구, 김천, 대전, 수원 등을 연결하며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중추적 고속 도로이다. 거의 모든 구간이 아시아 고속 도로 제1호선에 속한다.

[명칭 유래]

경부 고속 도로(京釜高速道路)는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 도로이므로 두 지역 명을 조합해 만든 명칭이다. 고속 국도 제1호선이라고도 한다.

[제원]

경부 고속 도로는 개통 시 총 길이가 428㎞였으나 보완 공사를 통해 2012년 12월 말 기준으로 416.05㎞로 단축되었다. 교량 수는 305개[총 연장 17㎞]이며, 터널 수는 6개소[총 연장 4.1㎞]이다. 도로의 넓이[노폭]은 22.4m로 개통 시에는 왕복 4차선이었으나 현재는 왕복 4~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소교량의 넓이는 노폭과 같이 22.4m이지만 대[긴]교량은 19.9m이다. 가장 긴 교량과 터널은 왜관 낙동강교[800m]와 옥천 터널[1,120m]이다. 부산광역시 내의 경부 고속 도로는 6차선 도로로 길이는 7,420m이다.

[건립 경위]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교통 수요 및 물동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측되어 육지 수송 체계를 새롭게 구축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서울과 부산을 잇는 경부 고속 도로를 건설하였다.

1967년 4월 29일 제6대 대통령 선거 기간 중 장충단 공원 유세에서 경부 고속 도로 건설 계획이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1967년 12월 13일 임시 국무회의에서 추진 위원회를 구성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68년 2월 1일 서울~수원 간 첫 공사가 시작된 후 2년 5개월이 지난 1970년 7월 7일 대전~대구 간 공사가 마무리되어 대구 공설 운동장에서 준공식이 거행됨에 따라 경부 고속 도로의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부산에서 대구까지 이어지는 122.1㎞ 구간은 1969년 12월 19일에 개통되었다.

[현황]

경부 고속 도로는 신갈 분기점에서 영동 고속 도로, 남이 분기점에서 중부 고속 도로, 회덕 분기점에서 호남 고속 도로 지선, 비룡 분기점에서 대전~통영 간 고속 도로, 김천 분기점에서 중부 내륙 고속 도로, 금호 분기점에서 중앙 고속 도로, 양산 분기점에서 중앙 고속 도로 지선과 연결된다.

경부 고속 도로의 기점인 부산광역시 내에서는 금정구 노포동, 선두구동, 구서동을 통과하며 건설되어 있다. 경부 고속 도로의 나들목으로는 노포 나들목영락 나들목, 구서 나들목이 있으며, 각 나들목은 중앙 대로와 연결된다. 또한 경부 고속 도로의 기점인 구서 IC에서는 부산 제1 도시 고속 도로인 번영로와 연결되어 해운대와 부산의 중심인 중앙동남포동까지 이어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