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중국아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400
한자 中國亞區
영어의미역 Plant Zones of China Steamed Anglerfish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지석

[정의]

부산 지역이 속하는 생물 지리구.

[개설]

지구상의 동물 분포는 매우 다양하다. 유사한 종이 다른 대륙에 분포하기도 하고 없는 종이 서식하기도 한다. 지구상의 조류와 포유류의 분포 상태를 근거로 월리스[1823~1913, 영국의 박물학자]는 세계를 생물 지리구[biogeographic region]라 부르는 6개 지역[구북구·동양구·호주구·에티오피아구·신북구·신열대구]으로 나누었다. 현재 정의하는 7개의 생물 지리구는 월리스가 최초로 제안한 것과 큰 차이가 없다.

생물 지리구는 크게 북쪽 생물 지리구와 남쪽 생물 지리구로 나눌 수 있다. 북쪽 생물 지리구인 신북구와 구북구는 약 2억 년 전 쥐라기에 남쪽 생물 지리구[신열대구·에티오피아구·동양구·호주구·남극구]로 분리되었다. 신열대구, 에티오피아구, 동양구 및 호주구는 약 1억 년 전, 남극구는 4,500만 년 전, 신북구와 구북구는 4,900만 년 전 무렵에 대서양이 만들어지면서 분리되었다. 7개 생물 지리구의 생물상은 신생대 3기[6,500만 년 전에서 180만 년 전까지]에 내내 격리된 상태로 발달하였다.

우리나라는 생물 지리구상 한국 동북 소구(小區)와 한국 서남 소구로 나뉜다. 한국 동북 소구는 구북구의 시베리아아구에 속하며, 한국 서남 소구는 구북구의 중국아구(中國亞區)에 속한다. 한국 동북 소구는 함경남도와 함경북도의 고지대를 포함하며 여기에 서식하는 포유동물은 북방계의 종이 대부분이다. 한국 동북 소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모두 한국 서남 소구이며 중국아구에 속한다.

[동물상]

한국 동북 소구의 대표적인 포유동물은 식충목의 뒤쥐·쇠뒤쥐·우수리땃쥐, 토끼목의 우는토끼, 박쥐목의 아무르박쥐·북방애기박쥐, 식육목의 대륙목도리담비·무산쇠족제비, 소목의 백두산사슴·대륙멧돼지 등이 있다. 조류로는 들꿩·멧닭·세가락딱따구리가 있으며, 파충류에는 북살모사·까치살모사가 있고, 양서류에는 북방산개구리의 북방형 종이 분포한다.

중국아구에 속하는 한국 서남 소구의 대표 종은 대부분 남방형이다. 우리나라 특산종이나 아종은 중국 만주 남부와 중부, 일본에 서식하는 종과 같거나 아종으로 비슷한 종류이다. 대표적인 포유동물은 식충목의 고슴도치·토마스땃쥐·두더지, 토끼목의 멧토끼, 쥐목의 소갈밭쥐, 박쥐목의 붉은박쥐·제주관박쥐·멧박쥐, 식육목의 너구리·노란목도리담비, 소목의 멧돼지·고라니 등이다. 파충류로는 도마뱀붙이·살모사·남생이가 있고, 양서류로는 한국산개구리·금개구리·맹꽁이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는 중국아구 한국 서남 소구에 속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