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반송 마을[반송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184
한자 盤松-盤松洞-
영어의미역 Bansong Village[Bansong-dong]
이칭/별칭 본동(本洞),본리(本里) 마을,웃반송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반송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주영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04년 - 동래부 동상면 반송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부 동상면 반송동에서 동래군 동래읍 반송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2년 - 동래군 동래읍 반송리에서 부산부 동래출장소 반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부 동래출장소 반송리에서 부산시 동래구 반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동래구 반송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반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8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반송동에서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반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0년 -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반송동에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반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반송동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반송 마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반송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반송(盤松)이란 이름은 운봉초등학교 앞에 서 있는 수령 200여 년이 넘는 아름드리 소나무를 반송 나무굴이라 칭하면서 비롯되었다. 반송동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마을이라 하여 본동(本洞), 본리(本里) 마을 또는 웃반송이라고도 한다. 반송동은 옛날 기장현과 동래부의 경계를 이룬다 하여 지경리(地境里)로도 불렸다.

[형성 및 변천]

반송 마을[반송동]이 언제 형성되었는지는 알 길이 없으나, 반송동의 본동 마을로 오랜 역사를 추정할 수 있다. 마을에 대한 기록은 확인할 수 없고, 마을이 속한 지역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지경리로 나타나며,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71]에는 반송리로 나타난다. 조선 후기 동래부 동면에 속하였으며, 1904년(고종 41) 동상면 반송동이 되었고, 1914년 동래군 동래읍 반송리가 되었다. 1942년 부산부 동래출장소 반송리에 속하였다가, 1957년 부산시 동래구로 편입되었으며, 1968년 동구 수정동 고지대 철거민 2,100여 가구의 이주를 시작으로 부산 시내 철거 이주민의 정착 지역이 되며 인구가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1978년 해운대출장소 관할이 되었고, 1980년 해운대출장소가 해운대구로 승격하였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반송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반송 마을 북서쪽에는 개좌산[449m]과 운봉산[454m]에서 이어지는 산줄기가 자리하고, 남동쪽에는 장산이 있다. 두 산지 사이 기장군 안평 마을에서 발원한 석대천이 남서로 흘러 나간다. 마을은 하천 유역의 좁은 침식 분지상에 자리하고 있다.

[현황]

반송 마을은 반송 2동에 속한 본동 마을로 상반송과 하반송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부산 도시 철도 4호선과 국도 제14호선이 마을을 관통하며, 웃반송역[상반송역이라고도 하고 동부산대학역으로도 불림]과 아랫반송역[하반송역이라고도 하고 영산대학역으로도 불림]이 있다.

관내에 운봉 장터에서 이어진 반송 2동 시장이 자리하며, 반송초등학교, 반송중학교, 운봉초등학교 등이 있다. 또한 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1호인 반송 삼절사(盤松三節祠)[반송 2동 143번지로 임진왜란 때 왜군에 맞서 싸우다 순절한 남원 양씨(南原楊氏) 일문 3인의 충혼을 함께 모신 곳]와 본동 당산[반송 2동 산51-1번지]이 있다. 1993년부터 시작된 개발로 옛 마을이 있던 자리에는 주공 아파트, 삼환 아파트, 남흥 아파트 등이 조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