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179
한자 舞亭-
영어의미역 Mujeong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무정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주영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읍 반여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42년 - 동래읍 반여동에서 부산부 동래출장소 반여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부 동래출장소 반여동에서 부산시 동래구 반여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동래구 반여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반여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8년연표보기 - 부산직할시 동래구 반여동에서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반여동으로 개편되며 무정 마을 등이 준공업 지구로 지정
변천 시기/일시 1980년 -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반여동에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반여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반여동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무정 마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무정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무정(舞亭) 마을은 무정이라는 정자 부근에 형성되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무정은 오지봉 기슭에 있던 정자로, 옛날 임금이 오면 춤을 추던 장소라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무정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전하는 바가 없으며,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 동래부 동상면 관내에 무정동이 있어 11호가 살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마을은 조선 후기 동래부 동면에 속하였다가 이후 동상면으로 분리되었으며, 1914년 동래읍 반여동에 속하게 된다. 1930년대 일본인 평전영일(平田英一)이 수영강에 둑을 쌓고 개간을 하여 경작지를 조성하고 주민들에게 소작을 주었다고 한다.

1942년 부산부 동래출장소에 속하였으며, 1957년 동래구에 속하였다. 1978년 해운대출장소에 편입되며, 무정 마을을 중심으로 준공업 지구로 지정되며 대우실업태광산업, 삼해공업, 삼립식품 등 대규모 섬유·식품 공장이 들어서게 되었다. 1980년 해운대출장소가 해운대구로 승격하였다. 1980년 초 저지대를 매립하여 왕자 아파트가 건축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무정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무정 마을의 서쪽으로 수영강이 남으로 흐르고, 북동쪽으로는 장산 오지봉(五指峰)에서 흘러내린 산줄기가 자리한다. 본래는 북동쪽의 오지봉 복수골[福水谷]에서 흘러내린 계곡물이 모여 연못을 이루었는데, 현재는 매립되어 왕자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현황]

무정 마을은 해운대구 반여 1동 1~6통 지역에 자리한 자연 마을이다. 마을 남쪽으로 동래에서 해운대로 연결된 충렬로가 통과하며 원동교(院洞橋)가 있다. 마을의 서쪽에는 수영강을 따라 수영강 강변 도로가 통과하며 번영로와 연결되는 원동 나들목이 설치되어 있다. 마을에는 왕자 아파트와 메가센텀 아파트[옛 대우실업 자리], 롯데 2차 낙천대 아파트 등이 자리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무정초등학교가 있다. 롯데 2차 낙천대 아파트 위쪽의 오지봉 기슭에 해림사(海林寺)[옛 이름 무화사]가 자리하며, 동남쪽 기슭에는 무정리 당산이 있어 매년 음력 1월 14일 자정경 제를 지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