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461
한자 士羅-
영어의미역 Sara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사라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공태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895년 - 기장군 읍내면 사라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군 기장면 대라리 사라 마을이 됨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0년연표보기 -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사라 마을이 됨
자연 마을 사라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사라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사라(士羅)의 옛 이름은 사날이다. 사라의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첫째, 산알에서 나온 말로, 산은 얼과 같이 선(仙)·성(聖)의 뜻이며, 알은 광명을 나타내는 말로 성스러운 광명의 의미라는 것이다. 둘째, 사라(沙羅)와 같은 어원으로 성을 뜻하는 옛말로 성촌을 뜻하며, 마을 뒤의 성산에 옛 산성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형성 및 변천]

사라 마을은 그 형성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려 때 사야부곡(沙也部曲)이 있어 고려 말부터 존재했던 마을임을 알 수 있다. 마을에 대한 기록은 확인할 수 없고, 마을이 속한 지역은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기장현 읍내면의 사라리로 지명을 확인할 수 있다. 『기장현읍지(機張縣邑誌)』[1832]에는 읍내면의 사리리방(士罹里坊)으로 기록되어 있다. 1895년(고종 32) 기장군 읍내면 사라동마동으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에 사라동과 마동을 합쳐 동래군 기장면 대라리 사라 마을이 되었다.

1920년대 마을 인근 야산을 개간하여 약 0.17㎢[5만여 평]의 과수원을 조성하였다고 한다. 이 과수원에서는 사과나무, 배나무, 감나무, 매실나무, 보리수 외에도 곰, 늑대, 원숭이, 토끼 등을 사육하였으며, 특히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오골계를 사육하였다고 한다. 1973년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 기장면기장읍으로 승격하였다.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90년대 초반 과수원이 대라리 구획 정리 사업지로 지정되어 사라졌다.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면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사라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사라 마을은 전체적으로 서고동저의 지형이다. 서쪽 성산에서 이어진 낮은 구릉지 쪽에서부터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성산 골짜기에서 발원한 사라천이 마을을 관통하여 기장중학교 정문 앞에서 용소천만화천을 만나 죽성 앞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성산(筬山) 남쪽 계곡에 있는 강계못은 수백 년 전 만든 수리 시설이었는데 현재는 그 흔적만 남아 있다. 이곳에서 흘러내린 하천수와 주변의 큰골·배내기골·새줏골 등지의 하천수가 일제 강점기 때 만든 사라 저수지로 흘러든다.

[현황]

사라 마을은 서쪽으로 부산~울산 간 고속 도로가 지나가고, 동쪽으로는 직교형의 도로망이 발달해 있으며, 동해 남부선 철도가 지나간다. 광복 전후 49가구가 살다가 1980년대부터 도시화가 되면서 아파트, 빌라 등 공동 주택이 많이 늘어났고, 1990년대 들어 구획 정리 사업을 통해 주공 아파트·이진 캐스빌·가화 랜드빌 5차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다. 마을 내에 기장고등학교, 대청초등학교, 대청중학교를 비롯하여 기장 종합 사회 복지관, 기장군 노인 복지 회관이 있으며, 서쪽의 사라못 주변 지역은 공원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