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해운대구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793
한자 海雲臺區誌
영어의미역 Record of Haeundae-gu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토지
저자 해운대구
편자 해운대구 문화공보실
간행자 해운대구
표제 해운대구지
간행 시기/일시 1994년 7월 25일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부산광역시청 시사편찬실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1000]지도보기
간행처 『해운대구지』 간행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지역의 역사와 문화 전반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향토지.

[편찬/간행 경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는 1980년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설치된 이후 해운대지구번영회에서 향토지를 발간하였으나, 또다시 해운대 전통 찾기 운동을 전개하여 향토사 편찬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 노력의 결과로 1994년 7월 25일 『해운대구지(海雲臺區誌)』가 간행되었다.

[서지학적 상황]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청 자료실, 부산광역시청 시정정보자료실과 시사편찬실 등 부산 지역 공공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책은 사륙 배판이고, 총 897쪽이다. 크기는 가로 20㎝, 세로 26㎝이다.

[구성/내용]

『해운대구지』는 총 2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혁 편에서는 해운대구의 연혁과 변천 현황을 소개하고, 자연환경 편에서는 해운대의 지세와 지질, 기후, 해양을 소개한다. 역사 편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해운대 지역의 역사를 시대별로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문화 편에서는 해운대 지역의 문화재와 문화 유적과 유물을 소개한다. 이어서 인물, 해운대 제영(題詠), 구비 문학, 관광, 종교·교육, 보호수, 의회, 행정, 도시 계획, 인구, 주택과 도로, 상하수도, 사회 복지, 교통 등 각 분야별로 상세한 현황을 수록하고 있다. 부록에는 1900년 이후 해운대의 역사적인 주요 사건, 집필 위원 명단 등이 나와 있다.

[의의와 평가]

1989년 해운대지구번영회에서 발간한 『부산 해운대지』와 함께 지역 역사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또 지역민들의 애향심을 고취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