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045 |
---|---|
한자 | 駕洛面鳳林里獨立萬歲事件 |
영어의미역 | Uprising for Independence Movement in Bongnim-ri, Garak-myeo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장선화 |
[정의]
1919년 4월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사건.
[역사적 배경]
서울에서 시작된 3·1 독립 만세 시위 소식이 전해지고, 4월 12일 장유면 3·1 운동 소식이 전해지면서 진주농림학교에 다니던 문위동이 중심이 되어 시위를 계획하였다.
[경과]
문위동, 문위동의 사촌 문위호, 윤상기(尹相基), 변동윤 등 20세 전후의 청년 수명은 4월 13일 김해군 가락면 봉림리[현재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 음지 바위 아래에 모여 ‘대한 독립 만세’를 고창하였으나, 학부모들의 만류로 해산하였다.
[결과]
주변의 만류로 일본 헌병의 출동까지 이르지 않았지만, 주도자였던 문위동은 1920년 8월 29일 진주농림학교 만세 시위 주도자로 체포되었다.
[의의와 평가]
가락면 봉림리 독립 만세 사건은 청년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소규모 시위였으나, 당시 김해 지역에서의 3·1 운동의 열기를 증명하는 사건이었으며, 이후 이 지역민들의 항일 의식 형성에도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