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761
한자 李俊
영어음역 Yi Jun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화가
성별
대표경력 대한민국 예술원 원장
출생 시기/일시 1919년 10월 7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4년 - 남해공립보통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39년 - 화가산시상업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39년 - 태평양미술학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정착
활동 시기/일시 1946~1949년 - 마산공립상업고등학교 교유
활동 시기/일시 1954~1984년 -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68년 - 제17회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추심 출품 추천 작가가 됨
활동 시기/일시 1981년 -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81년 - 독립 기념관 건립 추진 위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1년 - 문교부 예체능계대학평가실시위원회 위원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1~1982년 - 문화공보부 정책 자문 위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1~1983년 - 문예진흥원미술회관운영위원회 위원장 및 문예진흥원 한일현대미술전추진위원회 위원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3년 - 예술원 미술 분과 회장 및 86아시아경기대회 문화예술전문위원회 미술 분과 위원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서울시미술대전추진위원회 추진 위원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6년 - 제2회 서울시 미술 대전 초대 출품 추진 위원, 아시아경기대회 전시분과위원회 초대 작가 선정 위원장 및 총감독, 대한민국 미술 대전 운영 위원장, 한국미술협회 회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6~1989년 - 예술의 전당 이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7년 - 제3회 서울시 미술대전 초대 출품 추진위원장, 3·1 문화상 예술부 심의 위원, 올림픽조직위원회 문화예술추진협의회원, 올림픽조직위원회 세계현대미술제 운영위원장,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자문위원, 서울시 예술위원회 부위원장
활동 시기/일시 1987~1991년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 강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8년 - 올림픽 세계 현대 미술제 초대 출품 운영 위원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9년 - 제11회 예술원 미술 분과 회원전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90년 - ’90 현대미술관 초대전, 동·서양화 신춘 초대전, 예술의 전당 개관 기념전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94년 5월 - 이준 50년 회고전[국립현대미술관]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95년 5월 - 마니프 서울 국제 아트 페어[한가람미술원]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97년 6월 - 한국 미술의 지평을 열면서[갤러리 우덕]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97년 6월 - 예술원 미술전[예술원 미술관] 출품
출생지 이준 출생지 - 경상남도 남해군
거주|이주지 이준 거주지 - 부산광역시 영도구
학교|수학지 남해공립보통학교 - 경상남도 남해군
학교|수학지 와카야마시상업학교 - 일본 와카야마 시
학교|수학지 태평양미술학교 - 일본
활동지 이준 활동지 - 부산광역시 영도구
활동지 마산공립상업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 합포구 허당로 51[산호동 438-1]
활동지 이화여자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대현동 11-1]

[정의]

부산에서 활동한 미술가이자 예술 행정가.

[활동 사항]

이준(李俊)은 1919년 10월 7일 경상남도 남해에서 태어났다. 1928년 남해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34년에 졸업하였다. 같은 해에 일본으로 가서 와카야마시상업학교에 입학하여 1939년 졸업하고, 일본 태평양미술학교에 입학하여 서양화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46년 부산에 정착하였는데, 영도에 머물며 작품 활동을 하였다. 1946~1949년에는 마산공립상업고등학교[현 마산용마고등학교] 교유(敎諭)를 지내고, 제2회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1954년 이화여자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의 교수가 되어 1984년 정년 퇴임할 때까지 재직하였다. 정년 퇴임 후 1989년 제11회 예술원 미술 분과 회원전, 1900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90 현대미술관 초대전과 동·서양화 신춘 초대전 및 예술의 전당 개관 기념전에 초대되어 출품하였다. 이 외에 1994년 5월 이준 50년 회고전[국립현대미술관], 1995년 5월 마니프 서울 국제 아트 페어[한가람미술관], 1997년 6월 한국 미술의 지평을 열면서[갤러리 우덕]와 예술원 미술전[예술원미술관]에 출품하였다.

한편으로 이준은 미술과 관련한 각종 행사에서 발군의 역량을 발휘하며 두각을 드러냈다. 1968년 제17회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추심 출품 추천 작가가 된 것을 시작으로 1981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서양화]으로 피선되었고, 독립 기념관 건립 추진 위원과 문교부 예체능계대학평가실시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1981~1982년 문화공보부 정책 자문 위원을 역임하였고, 1981~1983년 문예진흥원미술회관운영위원회 원장과 문예진흥원 한일현대미술전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1983년에는 예술원 미술 분과 회장으로 선임되었고, 86아시아경기대회 문화예술전문위원회 미술분과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1985년 서울시미술대전추진위원회 추진 위원장이 되었고, 1986년에는 제2회 서울특별시 미술 대전 초대 출품 추진 위원, 아시아경기대회전시분과위원회 초대작가선정위원회 위원장 및 총감독, 대한민국 미술 대전 운영 위원장, 한국미술협회 회장으로 피선되었다.

1986~1988년 서울특별시올림픽수도미화위원회 위원, 1986~1989년 예술의 전당 이사를 지냈다. 1987년에는 제3회 서울특별시 미술 대전 초대 출품 추진위원장, 3·1 문화상 예술부 심의 위원, 올림픽조직위원회 문화예술추진협의회 위원, 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 세계 현대 미술제 운영 위원회 위원장, 국립현대미술관 운영 자문 위원, 서울특별시 예술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1987~1991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 강사, 1988년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 세계 현대 미술제 초대 출품 운영 위원을 지냈다. 이 외에도 현대 미술 초대 작가 선정 위원,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운영 위원장을 거쳐 대한민국 예술원 원장이 되었다.

[저술 및 작품]

저서로는 『서양 미술 대전-르느와르(편)』이 있고, 주요 작품으로는 「만추」·「조국령」·「페스티벌」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오지호 미술상,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대통령상, 국민 훈장 동백장, 삼일 문화상, 초대 작가상, 예술원상, 서울시 문화상, 문화의 날 은관 문화 훈장 등을 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