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665
한자 大夫橋碑
영어의미역 Monument for Garak Daebu-gyo Bridge
이칭/별칭 가락 대부교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대로 1476[죽림동 716-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상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기념비
양식 민머리 비석
관련인물 박기립(朴起立)|황호(黃鎬)|박계수|이달망|배계량|김진성|강순길|최이의|손상길|김계운|석경|천명
크기 105㎝[높이]|58㎝[너비]|14㎝[두께]
건립 시기/일시 1636년연표보기 - 대부교비 건립
현 소재지 가락동 주민센터 -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716-3지도보기
원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식만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에 있는 조선 후기 대부교 설립을 기념하여 세운 비.

[건립 경위]

대부교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죽도(竹島)로 들어가는 다리이다. 죽도는 본래 무인도이지만 해창(海倉)이 있을 만큼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 그래서 일찍부터 수진(水鎭)의 역할도 하였고, 다리가 세워지면서 근방의 사람들이 죽도로 들어와 생활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교비(大夫橋碑)는 1636년(인조 14) 김해 지방에서 매우 중요한 다리인 대부교의 부설 내력을 알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위치]

대부교비는 본래 놓았던 위치는 정확하게 알 수 없고 대변청(待變廳) 터 앞에 세워져 있던 것을 가락동 주민센터 내로 옮겨 놓았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716-3번지이다.

[형태]

약간 붉은색을 띠는 돌 비석으로 높이 105㎝, 너비 58㎝, 두께 14㎝ 정도의 민머리 비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대부교비(大夫橋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 김해부 남쪽으로 5리쯤에 ‘대부(大夫)’라는 이름의 포구가 있는데, 그렇게 이름을 붙인 의미는 전하지 않지만, 어쩌면 ‘복야파(僕射坡)’나 ‘낭관호(郞官湖)’와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거기에 나무를 베어다 다리를 만들어 죽도와 통하게 하였는데, 죽도는 곧 전함(戰艦)을 보관하고 조창(漕倉)을 설치해 둔 곳이다. 사람들의 왕래가 날로 이어지는데, 비바람에 썩어 무너져 몇 년에 한 번씩 개수하니, 사람들이 모두 불편해하였다.

그래서 자선가 박기립(朴起立)이란 사람이 석재로 바꾸고자 하였으나, 공사가 크고 힘은 모자라 세월이 가도 거행하지 못하였다. 이때 김해 부사 황호(黃鎬)가 이 사실을 듣고 애석해하여, 비장 가운데 이 일을 주관할 수 있는 유천점(劉天點)을 뽑아 일을 주관하게 하고 재력을 돕고, 노는 인력을 시켜 …… 그리하여 을유년 2월에 시작한 것이 몇 달 만에 완성을 보았으니, 이는 백성을 구제하는 넉넉한 정치라고 하겠다.

이제 사람들이 편리하게 강을 건너게 되었고, 옷을 벗어 들거나 걷어 올리는 불편을 겪지 않게 되었으니, 이는 박기립의 공로이다. 수많은 사람들의 입에 새기는 것이 이 돌에 새기는 것과 같은 것이니, 장대한 일이 아닌가! 숭정 병자년[1636년] 이후 □□월[(九行字不明) 府南五里許 有浦曰大夫 命名之義無傳 抑亦僕射坡郞官湖之類歟 刊木爲橋 以通竹島 而竹島 卽藏戰船置漕倉之所也 人之往來 日絡繹 而風雨以之杇傷變 數年一改 人皆病之 有善人朴起立者 欲代以石 事鉅力綿 積歲月未擧 府使黃侯鎬 聞而惜之 於褊裨中 得能幹人劉天點 尸其事 助財力 役遊手 □□□ 始於乙酉二月 數月而告訖 寔濟民之餘政也 於是 人得利涉 不患揭厲 此起立之功 銘諸萬口 與此石同 顧不偉哉 崇禎丙子後□□月 日]”이라고 적혀 있다.

뒷면에는 “절충장군 대시주. 가선 박계수·이달망, 통정 배계량, 업무 김진성·강순길, 통정 최이의, 보인 손상길, 사과 김계운, 석수 이, 승 석경, 좌승 천명 공양[折衝將軍 大施主 嘉善 朴繼守 李達望 通政 裵繼良 業武 金振聲 姜順吉 通政 崔以義 保人 孫尙吉 司果 金繼雲 石手 李 僧 石敬 座僧 天明 供養]”이라고 되어 있다.

[현황]

비문은 마모가 심하여 글자를 판독하기 어렵다.

[의의와 평가]

대부교비는 무인도이던 죽도에 사람이 살게 된 배경과 관련한 지역사 복원에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