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145 |
---|---|
한자 | 靑銅器時代-信仰 |
영어의미역 | Religions of the Bronze Ag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김도헌 |
[정의]
부산 지역에 살았던 청동기 시대의 사람들이 자연이나 동물 등을 믿고 받들었던 일.
[청동기 시대 신앙 형태]
청동기 시대에도 다양한 신을 믿는 신앙이 있었겠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증거는 없다. 그러나 의례(儀禮) 행위와 관련되었다고 판단하는 여러 가지 고고학 자료를 통해 청동기 시대 신앙을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자료로 보면 청동기 시대에는 토지신과 조상신을 숭배하였음과 다양한 농경의례가 존재하였음이 분명한데, 특히 농경의례의 확산은 청동기 시대의 특징이라고 알려졌다. 이밖에 선돌[입석(立石)]도 신앙과 관련되었다고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숭배 대상은 알 수 없다.
청동기 시대에 토지신을 숭배하였다는 사실은 집터에서 확인된 지진구(地鎭具)[집이나 건물, 묘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땅을 파기 전에 먼저 토지신에게 고하거나 건조물이 오래도록 유지되기를 기원하려고 땅속에 묻어 두는 의식 용구]를 통해 알 수 있다.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는 시기의 집터에서 지진구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청동기 시대 전 시기 동안 토지신에 대한 관념이 존재하였다고 추정한다.
그리고 청동기 시대에는 고인돌을 비롯하여 다양한 무덤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무덤은 조상의 시신을 묻는 장소이므로 무덤을 통해 조상 숭배의 관념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특히 무덤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토기나 석기를 깨뜨려 뿌린 흔적이 확인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장송 의례, 나아가 조상 숭배 관념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자료로 이해할 수 있다.
청동기 시대의 농경의례는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면서 이루어졌는데, 돌칼·옥·토기 등의 유물을 일부러 부수거나 불에 그슬려 밭에 뿌린 흔적이 농경의례와 관련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삼한 시대에 씨를 뿌리거나 농사를 끝낼 때 귀신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를 통해 청동기 시대에도 파종과 수확 시점에 농경의례가 이루어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농경의례와 관련하여 주목하는 유물 가운데 하나로 새 모양 목제품이 있다. 논산 마전리 유적에서 청동기 시대의 새 모양 목제품이 출토되었는데, 새를 하늘과 땅을 오가면서 풍작을 기원하는 곡령(穀靈)[곡물 가운데 들어 있으면서 곡물이 싹이 나서 자라고 열매를 맺게 한다는 영혼]의 사자(使者)로 파악하기도 한다.
[유적을 통해 본 부산 지역 신앙 형태]
부산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인돌[감천동 고인돌, 덕선리 고인돌, 구칠리 고인돌 등]을 통해 청동기 시대에 조상 숭배 신앙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송정리 입석 마을 선돌과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의 철마 선돌 등을 통해 다양한 신앙의 존재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부산에서는 아직 토지신 숭배나 농경의례와 관련된 자료는 확인되지 않았는데, 앞으로 확인될 개연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