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141
한자 靑銅器時代-住居
영어의미역 Dwellings of the Bronze Ag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배진성

[정의]

부산 지역 청동기 시대의 집터.

[개설]

청동기 시대의 주거에는 지상에 큰 기둥을 세워서 그 위에 지은 굴입주 건물(掘立柱建物)도 있지만, 부산 지역에서 확인되는 것은 거의 대부분 땅을 파서 만든 수혈 주거지(竪穴住居址)이다. 1985년과 1986·1988년에 조사된 노포동 유적반여동 유적에서 두 기씩 확인되었고, 최근에 발굴 조사된 사례로는 기장 지역의 가동 유적, 방곡리 유적, 청강리 유적이 있다. 그리고 오륜동 유적에서는 주거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민무늬 토기와 각종 석기들이 채집되어 청동기 시대 주거지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며, 민무늬 토기가 출토된 괴정1동 유적도 발견 당시 도로 공사로 인해 소멸된 상태였지만 주거 유적으로 추정된다.

한편 1973년 동래구 온천1동 금강 공원 안에서 유물이 채집된 온천동 유적은 전기 주거지 4기와 후기의 환호(環壕)가 확인되었다. 주거지는 금강 공원 내의 구릉 능선인 해발 78~80m 사이에 분포한다. 주거지의 평면 형태는 장방형과 방형으로 구분되며, 장방형 3기와 방형 1기이다. 동북쪽에 위치한 6호 주거지는 규모가 길이 850㎝, 너비 420㎝로 조사된 주거지 중 가장 크다. 특히 환호의 존재는 삼한 시대 독로국(瀆盧國) 성립 이전부터 다른 지역에 비해 이 지역이 상당히 세력이 컸음을 말해주고 있다.

[입지와 형태]

노포동 유적 주거지부산 지하철 노포동 차량 기지 동남쪽에 있는 해발 111.5m의 구릉 경사면에 위치한다. 주거지의 평면 형태는 장방형(長方形)이며, 내부에는 벽면 아래의 도랑 시설인 벽구(壁溝)가 설치되었다. 해운대구 반여동의 주거지는 수영강에 인접한 구릉의 끝자락에 위치한다. 평면 형태는 장방형이며, 가운데 부분에 있는 2개의 기둥 구멍[주혈(柱穴)] 외에 다른 시설은 확인되지 않았다.

가동 유적에서는 5기의 주거지가 확인되었는데, 평면 형태는 장방형이며 내부에서는 화덕 자리[노지(爐址)], 기둥 구멍, 벽구, 주거지 바깥으로 연결되는 배수구(排水口) 등이 설치되었다.

방곡리 유적은 대운산 남쪽으로 뻗은 구릉 끝자락의 남쪽 경사면에 위치하며, 모두 15기의 주거지가 조사되었다. 주거지의 장축(長軸)이 등고선과 나란하고, 길이가 290~1,780㎝로 규모의 차이가 크다. 이 가운데 길이 1,100㎝를 넘는 대형의 경우는 평면 세장방형(細長方形)이며, 여러 개의 화덕 자리가 있고 모서리 부분에는 저장 구덩이가 설치되기도 하였다.

청강리 유적 주거지양달산에서 뻗어 내린 구릉에 위치하며,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는 3기가 조사되었다. 주거지는 구릉의 경사면에 축조되었기 때문에 후대에 상당 부분 유실되어 완전한 형태를 알 수 없지만 평면 장방형으로 추정되며, 내부에서는 화덕 자리와 벽구가 확인되었다.

[의의]

한반도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는 대체로 대형(大形)에서 소형(小形)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으며, 부산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부산 지역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는 주로 후기(後期)에 속하는 것이 많은데 비해 전기(前期)로 확신할 수 있는 사례가 적었지만, 방곡리 유적의 조사로 인해 부산 지역에도 청동기 시대 전기에 유행한 대형의 세장방형 주거지가 축조되었음이 분명해졌다.

이러한 세장방형 주거지에는 화덕 자리가 여러 개 설치되었으며, 이것을 기준으로 주거지 내에서 공간이 분할되었던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로 인해 세장방형 주거지는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대가족체의 주거로 판단되고 있다. 반면, 이보다 규모가 작고 화덕 자리가 한 개만 설치된 후기의 장방형·방형 주거지는 주로 한 세대가 거주하는 가옥이다.

부산의 도심 지역은 이미 시가지로 바뀌어 많은 선사 유적이 제대로 조사되지 못하고 파괴된 곳이 많은데 비해, 최근에 발굴 조사가 활발한 기장 지역은 조사가 더 진행된다면 청동기 시대 마을의 모습이 더욱 선명하게 복원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