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녹산동 조개더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694
한자 菉山洞-
영어의미역 Shell Mound in Moksan-dong
이칭/별칭 녹산동 패각 산포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124
시대 선사/철기
집필자 배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조개더미
소유자 개인
관리자 부산광역시청 강서구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2년 - 부산직할시와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가 실시한 녹산 문화 유적 학술 조사에서 확인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124~238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에 있는 철기 및 삼국 시대의 조개더미.

[위치]

녹산동 조개더미녹산중학교녹명초등학교 사이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92년 부산직할시와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가 실시한 녹산 문화 유적 학술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정식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철기 시대의 토기와 삼국 시대의 토기도 소량 채집되었다.

[출토 유물]

적갈색 연질 토기(赤葛色軟質土器)와 도질 토기(陶質土器) 등이 채집되었다.

[현황]

급경사를 이룬 언덕과 바위 주변에 조개껍데기와 유물이 흩어져 있다. 녹명초등학교가 건립될 때 많은 조개더미가 드러났다고 하는데, 녹산동 조개더미에 포함되는 것인지 아니면 별개의 유적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의의와 평가]

출토 유물로 보아 철기 시대의 조개더미임을 알 수 있으나, 유적의 중심부 및 층위 등에서 양호한 고고학적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정식 발굴 조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강서구 지역에서 확인된 철기 시대의 조개더미 유적으로 녹산동 조개더미와 더불어 생곡동 장락 조개더미가 있어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고*** 한자명 표기

조개더미 = 貝塚
  • 답변
  • 디지털부산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지털부산문화대전은 한자 표기 시 반드시 한글과 1대 1로 일치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한자를 뜻으로 의역하여 표기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고학자님의 의견은 수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0.06.0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