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양완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481
한자 梁玩虎
영어음역 Yang Wanho
이칭/별칭 완호,정희당(定熙堂),양낙현(梁洛現)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인물/종교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202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종교인|화가
성별
본관 남원
출생 시기/일시 1869년 11월 4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90년 - 합천 해인사의 불사에 참여
활동 시기/일시 1892년 - 김차순과 결혼
활동 시기/일시 1914년 2월 20일 - 통영 선종포교당의 지장도·신중도·칠성도·수불도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17년 - 경주 불국사의 신장도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통도사 월봉사의 신중도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범어사 말사 안숙사의 지장도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울산 고석사의 지장보살좌상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20년 - 통도사 사명암의 지장도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21년 - 경주 기림사의 지장보살좌상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21년 - 영도 복천사의 석가여래불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22년 - 영도 복천사의 석조여래좌상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28년 - 범어사 인성암의 독성도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30년 - 포항 임허사의 지장보살상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31년 - 경상북도 도리사의 신중도 제작
몰년 시기/일시 1933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202
활동지 해인사 - 경상남도 합천
활동지 복천사 - 부산광역시 영도구지도보기
활동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활동지 통영 선종포교당 - 경상남도 통영시
활동지 불국사 - 경상북도 경주시
활동지 통도사 월봉사 - 경상남도 양산시
활동지 범어사 안숙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지도보기
활동지 고석사 - 울산광역시
활동지 통도사 사명암 - 경상남도 양산시
활동지 기림사 - 경상북도 경주시
활동지 범어사 인성암 - 부산광역시 금정구지도보기
활동지 임허사 - 경상북도 포항시
활동지 도리사 - 경상북도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출신의 불교 미술 전승가.

[개설]

본관은 남원. 본명은 양낙현(梁洛現), 호는 정희당(定熙堂). 아버지는 양철호이고, 어머니는 최씨이다.

[활동 사항]

양완호(梁玩虎)[1869~1933]는 1869년 11월 4일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202번지에서 양철호의 장자로 태어났다. 문화재청 보고서에 1890년 궁중 도화서의 화원이 주관하였던 합천 해인사의 불사에 관련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10대 때 불화 공부를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1892년 김차순과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일찍 세상을 떠났다. 둘째 아들 양정욱(梁正彧)은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가 고문으로 목숨을 잃었다고 하나,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1900년을 전후하여 영도로 건너가 해운암이 있던 자리에 복천암을 짓고 불교 공부와 참선에 매진하였다. 범어사에서 출가하였는데, 남겨진 유작 가운데 첫 작품이 1914년 2월 20일 완성한 통영 선종포교당의 지장도이므로, 그 이전에 출가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양완호는 통영 선종포교당에서 신중도·칠성도·수불도를 제작하였으며, 1917년 경주 불국사의 신장도, 1919년 통도사 월봉사의 신중도 등을 제작하였다. 우신출(禹新出)이 어렸을 적에 양완호에게 그림을 배우려고 영도에 왔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현재 양완호의 작품은 불화 49점과 불상 10점이 전하고 있다. 양완호는 일제 강점기에 민족정신의 계승을 위해 노력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양완호의 화맥은 보응·정윤·남곡·시찬·월주·정도·춘화·일섭·송파·중근 등에게 전수되어 전해지고 있다.

한편, 구례 화엄사의 승려였던 호은대사[1850-1918]를 기리기 위해 1918년 건립한 호은대율사비(虎隱大律師碑)에 양완호의 이름이 제자 명단에 새겨져 있어 호은대사의 제자였던 것으로 보이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저술 및 작품]

대표적인 불화로 「지장도」[131×214㎝, 금본 채색, 통영 선종포교당, 1914], 「신중도」[133×99㎝, 금본 채색, 통영 선종포교당, 1914], 「칠성도」[131×215㎝, 금본 채색, 통영 선종포교당, 1914], 「수불도」[1055×659㎝, 금본 채색, 통도사 통영포교당, 1914], 「신장도」[159.3×204㎝, 금본 채색, 경주 불국사, 1917], 「지장도」[151.4×150.6㎝, 금본 채색, 범어사 말사 안숙사, 1919년], 「지장도」[118×172㎝, 금본 채색, 통도사 사명암, 1920], 「석가여래불」[117.5×253.5㎝, 금본 채색, 영도 복천사, 1921년], 「독성도」[52.4×68.0㎝, 금본 채색, 범어사 말사 인성암, 1928], 「신중도」[135.0×150.4㎝, 금본 채색, 경상북도 도리사, 1931] 등이 있다.

불상으로는 지장보살 좌상[높이 57cm, 울산 고석사, 1919], 지장보살 좌상[높이 86.5cm, 경주 기림사, 1921년], 석조여래좌상[높이 55.4cm, 영도 복천사, 1922], 지장보살상[35×25.8cm, 포항 임허사, 1930] 등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7.03.06 사찰 명칭 변경 쌍계사 통영포교당 ->통영 선종포교당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