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166
한자 金根道
영어음역 Gim Geundo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가길224번나길 16[성북동 722]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서용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출생 시기/일시 1900년 12월 10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8년 - 일본 오사카로 이주
활동 시기/일시 1936년 4월 - 재오사카 가덕인친목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39년 2월 - 가덕인청년부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42년 9월 30일 - 치안 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5년형을 선고 받음
활동 시기/일시 1945년 10월 8일 - 형 집행 정지로 석방
몰년 시기/일시 1983년 1월 29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5년연표보기 - 건국 훈장 애족장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6년 10월 - 김근도 흉상 건립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42년연표보기 - 가덕인청년부회 사건
출생지 가덕도 -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722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일본 오사카
학교|수학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동
활동지 재오사카 가덕인친목회 - 일본 오사카
활동지 가덕인청년부회 - 일본 오사카
기념 독립 유공자 김근도 흉상 -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271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사항]

김근도(金根道)[1900~1983]는 망국의 기운이 가득하던 1900년 12월 10일에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722번지] 가덕도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김근도는 넉넉하지 못한 집안 형편으로 보통교육 4학년을 수료한 후 생계를 위해 1918년 일본 오사카[大阪]로 건너가 주로 법랑(琺瑯) 공장의 직공으로 노동을 하였다.

민족의식이 남달랐던 김근도는 오사카에서 공장 직공으로 일하면서 일본의 조선 통치를 저주하고 재일본 조선인에 대한 차별과 압박에 분개하여 일본에 치열한 반감을 품게 되었다. 김근도는 일본 전국노동조합동맹파업부 나니와지부에 가입해 노동 운동을 하였다. 또한 조선 민족을 해방하여 조선의 번영을 이루어 내기 위해서는 조국을 독립시키는 길 이외에 다른 방도가 없다고 판단하고 1936년 4월 동향인인 이수용(李守龍)·이수강(李壽康)·김성규(金成圭) 등 10여 명을 규합하여 항일 친목 단체인 재오사카 가덕인친목회[在大阪加德人親睦會]를 비밀리에 조직하였다.

김근도는 재오사카 가덕인친목회를 지도하면서 회원들에게 조선 민족에 대한 일본의 차별과 압박을 알렸고 조선이 일본 때문에 국토를 강탈당하였다고 역설하여 회원들의 민족의식을 높였다. 나아가 조선인 모두가 일치단결된 힘으로 일제히 봉기하여 조선의 국토를 일본으로부터 탈환하고 독립해야 된다는 내용의 연설을 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할 과감하고 의식 있는 조선인들을 육성하였다.

그러나 재오사카 가덕인친목회가 일제 사법 당국에 발각되어 해산되자 1939년 2월 이수강 및 김성규와 대책을 모의하여 표면적으로는 체육 활동과 상호 친목을 도모한다고 표방하고 오사카에 있는 가덕도 출신 청년들을 결집하여 새로 가덕인청년부회(加德人靑年部會)를 결성하였다. 김근도는 가덕인청년부회의 확대와 강화를 도모하면서 널리 동포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또한 ‘중일 전쟁의 장기화에 따라 일본에서 내란이 발발할 것은 필연적 사실이므로 그 기회를 타서 소련과 제휴하고 일제히 봉기한다면 조선 독립의 목적 달성은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김근도는 조선 독립의 기운을 조성하기 위해 계속해서 회원들의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계몽하면서 독립을 위해 궐기할 것을 선동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치안 유지법」 제5조 위반으로 1942년 9월 30일 오사카지방재판소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12월 22일부터 복역하였고 일본이 패전한 1945년 10월 8일에 형 집행 정지로 풀려났다. 1983년에 1월 29일에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5년에 건국 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또한 1996년 10월에 김근도의 고향인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271번지[가덕도 내]에 독립 유공자 김근도 흉상이 건립되었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 자료집』14(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8)
  •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 부산광역시 강서구청(http://www.bsgangse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