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0306 |
---|---|
한자 | 新定牙州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윤인수 |
1819년(순조 19) 이호빈이 편찬한 충청남도 아산 지역 읍지.
『신정아주지』는 19세기 아산 지역의 경역(境域), 건물, 관원, 호구 등을 수록한 읍지이다.
『신정아주지』는 이호빈(李浩彬)이 편찬하였다.
영조 대에 편찬된 『여지도서』와 1742년(영조 18)에 작성된 『구아주지(舊牙州誌)』를 저본으로 하고 후대의 변화상을 반영하여 1819년 이호빈이 편찬하고 홍이도(洪履度)가 교정하였다.
『신정아주지』는 1책 63장, 10행 22자의 선장(線裝)[문자가 있는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 가운데를 접어 끈으로 묶은 책] 필사본이다. 크기는 가로 22㎝, 세로 32㎝이다.
『신정아주지』는 강계(疆界), 건치연혁(建置沿革), 관원(官員), 진관(鎭管), 읍호(邑號), 읍선생(邑先生), 속상(俗尙), 방리(坊里), 토성(土姓), 호구(戶口), 전안(田案), 조세(租稅), 면세급부(免稅給復), 늠봉(廩俸), 진공(進供), 창고(倉庫), 선척(船隻), 창곡(倉穀), 군안(軍案), 군임(軍任), 이안(吏案), 천안(賤案), 향임(鄕任), 면임(面任), 이임(里任), 공장(工匠), 어염점호(魚鹽店戶), 교량(橋梁), 제언(堤堰), 천방(川防), 장시(場市), 산천(山川), 풍토물산(風土物産), 관사(館舍), 학교(學校), 사단(祠壇), 역원(驛院), 사찰(寺刹), 누정(樓亭), 충신(忠臣), 효자(孝子), 열녀(烈女), 학행(學行), 인물(人物), 문장(文章), 무과(武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정아주지』는 기존 충청남도 아산 지역 관찬읍지를 바탕으로 편자가 항목을 재구성하고 안(按)으로 주기를 단 사찬읍지이다. 18세기 관찬읍지와 비교해 볼 때, 전결이나 창곡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18세기에 비해 아산의 읍세가 다소 축소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신정아주지』에는 이지함(李之䓿)이 향교를 옮긴 사실, 인산서원(仁山書院)의 연혁과 훼철 위기 등이 나타나 있어 사회사적으로도 주목되는 읍지이다.